“국내 금값 0.9% 급락”…달러 강세·환율 상승에 김치프리미엄 축소
국내 금시세가 11월 18일 아침 뚜렷한 하락세를 나타내며 투자자들의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 시스템에 따르면 이날 1돈 시세는 718,650원으로, 전일 대비 6,863원(0.9%) 급락했다. 반면 국제 금시세 국내 기준가는 712,832원으로, 낙폭은 1,731원(0.2%)에 그쳐 국내 가격이 국제 금값보다 4배 가까이 크게 떨어졌다. 이에 따라 한동안 이어지던 국내외 금값 차이(이른바 ‘김치프리미엄’)는 완만하게 줄어드는 흐름이다.
시장에서는 달러 강세와 국내 금 수급 약화, 투자심리 위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한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464원까지 오르며 원화 약세가 심화됐으나, 국내 시장에서는 이 같은 환산효과를 상쇄할 정도로 수요와 심리가 뚜렷이 위축됐다. 삼성금거래소는 글로벌 금 가격도 이날 온스당 4,075달러선을 유지하며 혼조세를 나타냈다고 분석했다. 금시장은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되고, 9월 비농업고용보고서(NFP)와 FOMC 의사록 발표를 앞둔 불확실성에 단기 변동성이 커진 모습이다.
![[분석] 달러 강세 속 국내 금값 급락…김치프리미엄 축소 흐름 (금값시세)](https://mdaily.cdn.presscon.ai/prod/129/images/20251118/1763428217641_636606434.jpg)
전문가들은 금 가격이 중기적으로는 여전히 견조한 상승 기초체력을 갖췄다고 본다. FXSTREET 분석에 따르면, 국제 금값(XAU/USD)은 100일 이동평균선(4,043달러) 위에서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고, 상대강도지수(RSI)는 41수준에 머물러 기술적으로는 단기 약세 모멘텀이 성행하는 국면이다. 주요 지지선은 4,050~4,000달러, 저항선은 4,100~4,150달러로 제시된다.
관련 제도 및 정책 측면에서는 금시장이 환율 변동, 글로벌 불확실성 이슈와 직결돼 있어, 당국 역시 환율 및 통화정책 변화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다. 달러·원 환율은 엔저 심화, 미국 정책금리 동결 가능성 확대 등 대외 요인으로 인해 당분간 상방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과거 흐름과 비교해도 금값의 구조 자체에 변화가 감지된다. 직전 1주일 평균 대비 23,421원(3.2%), 30일 평균 대비 25,556원(3.4%) 하락했다. 1년 최고가(851,250원) 대비 15.6% 낮아졌으나, 여전히 최저가(421,875원) 대비로는 70.3%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어 장기적 상승세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셈이다.
투자자들은 앞으로 달러·원 환율 방향, 미국의 주요 고용지표 및 연준 의사록, 글로벌 지정학 리스크, 국제 금 수요 구조 변화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시장에서는 단기적 급변에 휘둘리기보다는 국내외 시세 차이와 환율, 글로벌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당국 역시 금시장 안정과 환율 리스크 완화에 정책적 대응을 이어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