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이공계 인재 유출 차단 총력”…정부·삼성, 민관합동 TF 출범
IT/바이오

“이공계 인재 유출 차단 총력”…정부·삼성, 민관합동 TF 출범

문경원 기자
입력

이공계 인재 유출이 국가 경쟁력 위협 요인으로 대두된 가운데, 정부와 삼성전자 등 민간 주체가 공동으로 과학기술 인재의 보호와 유치를 위한 정책 논의에 착수했다. 정부는 12일 서울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과학기술인재 유출 방지 및 유치 대책' 마련을 위한 민관합동 TF(태스크포스) 출범을 공식화했다. 업계는 실효적 인재 수급 대책이 마련될지 주목하고 있다.

 

이날 출범한 민관합동 TF는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과 경계현 삼성전자 고문이 공동 위원장을 맡아, 9개 부처와 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인재특별위원회 위원을 포함한 민간 전문가로 구성됐다. TF는 현장에서 체감되는 인재 유출 문제를 면밀히 분석하고, 젊은 이공계가 국내에서 성장·정착할 수 있는 환경 조성방안을 아울러 논의한다.

기술 유출·두뇌 유동성 심화 등 최근 글로벌 인재 확보 경쟁은 선진국 중심으로 산업 주도권이 재편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 역시 이공계 유망 인력의 해외 이탈, 취업 기피, 산업 현장 활력 저하 등이 연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TF는 인재 유입, 성장, 취업, 정착 등 전 주기에 걸친 지원책을 발굴하고, 정책·재정 연계책을 9월까지 구체화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민관협력은 각 부처 및 민간의 실제 수요를 반영, 현장 의견 중심으로 추진한다는 점에서 기존 ‘공급자 주도’ 정책과 차별화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미 7월 초부터 실무 TF를 가동해 출연연, 기업, 대학, 외국인 유치 등 5개 축의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해외 대학·연구소의 우수 인재 유인 전략과 비교해도, 범부처·민관 거버넌스 체계를 갖춘 점에 업계의 기대도 높다.

 

미국, 독일, 싱가포르 등은 첨단기술 인재 영입을 위해 이민·정착 지원과 산학연 네트워크를 결합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펴며, 데이터·AI 역량을 갖춘 글로벌 인재 쟁탈전을 벌이는 중이다. 이에 맞서 정부 역시 이공계 인재 유입의 ‘진입장벽’인 제도, 정주 환경 개선 등 실질적 대책을 강조한다.

 

TF 공동위원장 구혁채 차관은 “해외 이직 제안에 고민하는 이공계 인재들이 대한민국 내 미래를 확신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관계 부처 간 ‘원팀’ 협력을 통한 실행력 강화와, 관련 예산·제도 정비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이번 TF 출범이 새 정부 제1호 인재 정책인 만큼 현장에서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올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범정부·민관 거버넌스와 인재 생태계 중심의 실질적 지원책 마련이 이공계 혁신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문경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민관합동tf#삼성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