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공천 여론조사 반영 80%로”…광주·전남 시민단체, 민주당에 제도 개선 촉구

오태희 기자
입력

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광주·전남 지역 시민단체와 더불어민주당 간의 공천 방식 갈등이 부상했다. 핵심 시민단체 연합체인 광주·전남 시국회의가 집단 기자회견을 통해 경선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80%까지 확대할 것을 공식적으로 요구하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0일 광주 동구 YMCA 무진관에서 30개 단체가 모인 광주·전남 시국회의는 “더불어민주당은 권리당원 확보에만 몰두하는 구태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더 많은 일반 유권자의 표심이 후보 공천에 반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단체는 “민주주의의 파수꾼 역할을 해온 호남 유권자들이 수십 년간 지역 대표를 뽑는 선거에서 온전히 주권을 행사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시국회의는 이어 “2022년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 광주의 투표율이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다”며 “민주당 공천만으로 당락이 좌우되고, 권리당원 구성에만 기댄 폐단이 누적된 탓”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권리당원에만 좌우되는 구조에 지역사회 피로감과 불만이 쌓였고, 결과적으로 투표율 저하로 연결됐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구체적인 개선안으로 “광역·기초의원 공천 과정에서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현행 50%에서 80%로 상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단체 관계자는 “일반 유권자가 체감하는 대표성 회복 없이는 호남 정치의 활력이 계속 침체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측은 공식 입장 표명이 없으나, 지역 정가 안팎에서는 “불공정 논란 해소와 권리당원 의존 구조 개선” 요구가 반복돼 온 만큼 제도 개선 논의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정당 일각에서는 권리당원의 당내 참여 가치와 대중 여론 반영 비율 사이 균형점을 찾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정치권은 호남의 낮은 투표율과 지속되는 공천 불신 문제가 내년 지방선거 구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민주당 내에서는 여론조사 확대 요구를 둘러싼 입장 차가 표면화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날 현장에서는 “시민참여 확대, 공천제도 개혁 없이는 호남 정치 회생이 어렵다”는 강경한 주장도 이어졌다. 국회와 민주당 지도부는 추후 당내 논의 과정을 거쳐 경선 제도 개선 여부를 결정할 전망이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주전남시국회의#더불어민주당#지방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