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한중 정상 11월 연쇄회담”…이재명, APEC 계기 글로벌 외교전 돌입
한미, 한중 정상회담 일정을 둘러싸고 외교전이 본격화됐다. 이재명 대통령과 미국, 중국 정상의 연쇄 회담을 앞두고, 외교 라인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29일 한미 정상회담과 다음 달 1일 한중 정상회담 개최가 확정되면서, 정국 역시 격랑에 휩싸였다.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오는 2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11월 1일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각각 정상회담을 갖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4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APEC 정상외교 일정을 상세히 소개했다.

위 실장은 “한미 정상회담은 29일 오후 경주 또는 인근에서 개최되며, 트럼프 대통령은 국빈방문 일정도 준비돼 있다”고 밝혔다.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은 APEC 본회의 마지막 날인 11월 1일 열릴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다음 APEC 정상회의 주최국인 중국 측에 의장직을 공식 인계한다.
정상회담 장소에 대해 위 실장은 “구체적으로 밝히긴 어렵지만, 경주와 주변 지역 여러 행사장이나 부속건물, 박물관 등 다양한 시설이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일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이 나왔다.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일본 총리와의 회담이 논의 중임을 전하며, “일정은 실무선에서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일정 확정 전이지만, 회담 성사를 위한 절차가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북미 정상회담 추진 여부에 관해선 “현재 북미 간 새로운 동향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정치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외교 행보를 두고 각종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여권은 미국, 중국과의 외교관계 강화, 지역 정상외교의 폭넓은 외연 확장에 기대를 표하는 반면, 야권 일부에서는 이슈 선점 및 국내 현안 잠재우기 목적이 아니냐는 의구심도 내부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한미, 한중 연쇄 정상회담 이후 한일 정상회담까지 성사될 경우 한반도 정세와 동북아 외교 구도가 대대적으로 재편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정부는 “정상외교 일정을 차질 없이 준비하고, 추가 성과 가능성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