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직후 연속 통화”…추경호, 홍철호·한덕수·윤석열과 연락 정황 특검팀 확보
‘국회 계엄 해제 방해 의혹’을 둘러싼 여야 갈등이 정점을 향하고 있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 핵심 인사들과 연달아 통화한 내역을 확보하면서 정치권은 격랑에 휩싸였다. 특검팀은 해당 통화를 중심으로 국민의힘 지도부가 계엄 상황에서 조직적인 협조에 나섰는지 여부를 집중 추적하고 있다.
12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지난해 12월 3일 밤 비상계엄 선포 직후 홍철호 당시 정무수석, 한덕수 전 국무총리, 그리고 윤석열 전 대통령과 연속 통화한 기록을 확보해 수사 중이다. 추 전 원내대표는 자택에서 국회로 향하던 중 홍철호 전 수석과 먼저 통화했으며, 11시12분께 한덕수 전 총리와 7분간, 이어 11시22분께 윤석열 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이 드러났다.

특검팀은 계엄 선포 상황에서 여당 중심의 ‘역할’ 논의가 이뤄졌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긴박한 상황 속 한 전 총리와 장시간 통화한 점, 그리고 연이어 이어진 수뇌부들과의 연락이 단순한 상황 점검을 넘었을 수 있다고 의심 중이다.
또 국민의힘 내부 혼선 정황도 도마에 올랐다. 일부 의원들이 국회 본회의장 집결을 요청하는 와중에 추 전 원내대표가 의총 장소를 계속 변경 공지했다는 사실이 김예지 의원 진술과 문자 메시지 내역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국민의힘 의원들은 본회의장 집결 요청 문자와 동시에, 원내대표실로부터 '당사로 모이라'는 별도 공지를 받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이 같은 동선 혼선이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과 연관성이 있는지 집중 수사하고 있다.
특검팀 조사에 따르면 당시 우원식 국회의장이 본회의 개의를 준비 중이었으나, 추 전 원내대표는 우 의장에게 '의원 모임 시간이 필요하다'며 본회의 개의 연기를 요구했다. 이는 곧 국회가 아닌 당사로 의총 장소 공지를 변경한 직후였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정족수 확보가 급했다면 국회를 의총 장소로 고수했을 것이라는 시각을 내비쳤다.
계엄 선포 이후 국민의힘 의원 단체 채팅방 내부 상황도 혼란스러웠다. 추 전 원내대표는 12월 3일 밤 11시 3분 의총 장소를 '국회'로 알렸다가, 국회 통제 소식이 전해지자 다시 '당사', 이어 '국회 예결위장', 다시 '당사 3층' 등 수차례 공지 장소를 바꿨다. 이 과정에서 의원들은 출입 경로·집결 방법을 공유하며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같은 시각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국회 집결'에 의견을 모았다는 점과 뚜렷이 대비된다.
특검팀은 당시 국민의힘 의원 단톡방 메시지 내역이 모두 삭제된 사실까지 파악한 상태다. 수사팀은 작년 10월 말부터 12월 중순까지 메시지 복구와 분석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특검팀은 향후 관계인 조사와 함께 당시 여야의 계엄 해제 표결 동선, 의총 연기 및 집결지 변경 배경 등 조직적 개입 여부까지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정치권은 특검팀 수사 결과에 따라 여야 책임론 공방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