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재 유출입 논의 확대”…국정위, 인재 확보 전략 선도한다
AI 인재 양성 및 유치가 국가 산업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는 28일 서울 양재의 국가 인공지능 연구거점에서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의 AI 전문가, 학생들과 함께 인재 유출입 현장을 점검하고 실질적 정책 방안 마련에 나섰다. 이번 간담회에는 카이스트, 연세대, 고려대, 포항공대 등 국내외 AI 연구진이 다수 참여했다. 해외로 유출되는 인재와 역유입되는 연구자 모두가 포괄된 논의였다는 점에서 산업 현장의 목소리가 직접 정책에 반영될 길이 열릴 전망이다.
국가 AI 연구거점은 2023년 10월 개소 이래 국제 공동연구, 글로벌 인재 양성, 산학연 협력 생태계 구축을 목적으로 운영 중이다. 참석자들은 현장에서 AI 인재 유출입의 핵심 요인으로 연구환경, 처우, 생활 여건, 경력경로, 연구기관 간 교류 활성화 등을 지목했다. 처우나 인프라 측면에서 여전히 해외 기관 대비 장벽이 존재함에 따라 유능 인재의 선순환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이번 논의는 글로벌 AI 연구 시장이 인재 유치, 네트워크 확대 경쟁으로 재편되는 가운데 진행됐다.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국이 글로벌 공동연구와 연구비, 처우 개선, 인재 귀환 프로그램을 공격적으로 도입하고 있어, 국내 역시 산학연 연계 인프라와 해외 인재 유입 정책 강화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황정아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 기획위원은 “AI 인재 확보가 국가 경쟁력을 직접 좌우하는 중요한 과제”라며, “현장 의견을 토대로 대한민국이 AI 인재가 머무르고 돌아오는 거점 국가가 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지원책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도 전주기 인재양성 체계와 데이터·공동연구 중심 연구거점, 쌍방향 교류 확대 같은 제도 혁신을 예고 중이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이번 현장 의견 수렴이 실제 AI 인재 확보 정책 전환의 분기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산업계는 정책과 제도, 현장 수요 간의 간극을 좁히는 노력이 실제 시장 경쟁력 상승으로 이어질지 추이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