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영업이익 5,735억 원”…SK이노베이션, 석유·E&S 실적 개선에 흑자 전환
SK이노베이션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5,735억 원을 기록하며 2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31일 회사 발표에 따르면 유가와 정제마진의 상승, LNG 발전소 계절 효과에 힘입은 E&S 사업의 견조한 실적이 실적 회복을 견인했다. 매출은 20조 5,33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3% 증가했으며, 당기 순손실은 943억 원으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 이번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였던 3,797억 원을 51% 웃도는 결과다.
사업별로는 석유 사업이 전 분기 대비 7,705억 원 늘어난 3,042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며, 관련 매출은 12조 4,421억 원에 달했다. E&S 사업도 2조 5,278억 원 매출, 2,554억 원 영업이익으로 실적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 반면, 배터리 사업은 1조 8,079억 원 매출에 1,248억 원의 영업적자를 봤으나, SK온 통합 기준으로는 179억 원의 흑자를 내며 2분기 연속 수익성을 이어갔다. 특히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세액공제 효과가 1,731억 원 반영됐으며, SK온은 미국 플랫아이언과 1GWh ESS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2030년까지 6.2GWh 우선협상권도 확보했다. 화학과 소재 사업은 각각 적자를 기록했으나, 윤활유와 석유개발 부문은 각각 1,706억 원, 893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업계는 SK이노베이션의 실적 반등에 주목하면서도, 4분기에는 OPEC+ 증산에 따른 유가 하락과 글로벌 전기차 시장 둔화, 신규 배터리공장 가동 관련 투자 부담 등 불확실성이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SK이노베이션은 미국에서 최대 10GWh 규모의 ESS 공급계약 논의를 본격화하고, 북미 시장 대응을 위한 현지 운영 거점도 마련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북미 ESS시장 확대와 배터리-윤활유 부문 합병에 따른 시너지 창출이 SK이노베이션의 중장기 기업가치 제고에 긍정적 신호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서건기 SK이노베이션 재무본부장도 “ESS 사업 확장과 합병법인 시너지로 미래 성장과 기업가치 제고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역시 LNG 발전 등 신에너지 부문 지원을 강조하고 있어, SK이노베이션 E&S사업의 호주 깔디타-바로사 가스전 생산과 국내 도시가스 확대 등 수익 기반 강화 전략이 주목된다. 회사는 내달 1일 SK온과 SK엔무브의 합병법인 출범과 함께 2030~2031년 배터리 액침냉각 사업의 본격화도 기대하고 있다.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1년 만에 플러스로 전환되며, 매출 규모 역시 2022년 동기 이후 최대치다. 향후 SK이노베이션은 시장 불확실성에 대응해 핵심 사업별 수익성 제고와 북미 ESS 시장 공략에 집중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