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퇴 여부는 인사권자 소관”…노만석 대검총장 대행, 거취 논란에 일침
검찰 수장을 둘러싼 거취 논란과 수사 신뢰 문제가 국회에서 충돌했다. 대검찰청 국정감사에 출석한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대검찰청 차장검사·사법연수원 29기)이 사퇴 요구와 조작 의혹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내보였다. 검찰 조직의 역할과 공직자의 책임감 사이에서 정치권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노 직무대행의 발언이 정국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2025년 10월 27일 오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 노만석 대검총장 대행은 “사퇴 부분은 인사권자가 갖고 있는 것”이라며 “공직자는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밝혔다. 이는 국민의힘 신동욱 의원이 “검찰을 없애는 법안이 통과된 마당에 검찰총장이 도의적으로 사퇴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질의한 데 대한 답변이었다.

노 대행은 “사퇴 부분이야 인사권자가 가지고 계신 것”이라며 “공직자가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할 뿐, 제가 제 거취를 갖고 그만두느니 마느니 하는 것은 공직자의 자세에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관두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문제가 아니나, 검찰이 쌓아온 수사 노하우와 역량의 중요성을 간과해선 안 된다”며 검찰조직의 역할을 부각했다.
더불어 노 대행은 이재명 대통령 재판 관련 수사 조작 의혹에 대해서도 입장을 내놨다. “지금 그 수사에 대해 다양한 의혹이 나오는 만큼, 국민적으로 이 의혹은 반드시 해소돼야 한다. 그래야만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국민들을 설득할 수 있다”고 답변했다. 검찰의 공정성과 국민 신뢰 회복 필요성을 인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여야는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여당은 검찰의 조직적 책임과 자정 기능을 주문한 반면, 야당은 야권 인사에 대한 정치적 수사가 반복되고 있다고 맞섰다. 국회 내부에선 “수사 공정성을 둘러싼 논란이 오히려 사법 신뢰 약화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정가 일각에선 검찰 조직과 정치권 간 힘겨루기가 내년 총선 국면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전문가들은 “검찰 수장 거취와 주요 수사 결과가 향후 민심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국교 법제사법위원회는 검찰 조직의 책임론과 수사 의혹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정치권은 노만석 직무대행 발언을 계기로 거취 논란과 수사 신뢰 공방이 더욱 격화되는 양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