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차량 인도량 13% 급감”…테슬라, 판매 부진 속 주가 반등
현지시각 2일, 미국(USA)의 전기차 업체 테슬라(Tesla)는 2분기(4~6월) 차량 인도대수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전문가 예상에도 미치지 못한 성적표에도 불구하고, 테슬라 주가는 이날 뉴욕증시에서 전일 대비 4.97% 상승 마감하며 투자 심리가 일부 회복됐다. 세계 전기차 시장 내 경쟁 격화와 보조금 정책 변화 등 복합적 변수 속에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테슬라는 올해 2분기 차량 38만4,122대를 고객에게 인도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44만3,956대와 비교해 13% 감소한 수치다. 테슬라는 작년 2분기 대비 두 자릿수 인도량 하락을 기록하며 2012년 ‘모델S’ 출시 이후 최대 폭의 감소를 나타냈고, 전문가 전망치(38만7천 대)에도 못 미쳤다.

이번 판매 부진의 원인으로는 중국(China) 전기차 제조사들의 저가 공세, 일론 머스크(Elon Musk) CEO의 논란성 정치 행보에 따른 글로벌 불매 운동, 그리고 1분기 ‘모델Y’ 생산라인 개선작업으로 인한 부분 가동 중단 등이 복합적으로 꼽힌다. 테슬라는 상반기 내내 시장 불확실성과 도전 요인에 직면해왔다.
이러한 상황에도 인도량 발표 직후 테슬라 주가는 전날 5.34% 급락분을 대부분 만회, 315.65달러로 장을 마쳤다. 금융매체 ‘배런스(Barron’s)’는 “부정적 재료가 이미 선반영된 상태”라며 2분기 인도량이 1분기 대비 소폭 증가한 점도 투자심리 개선에 영향을 줬다고 평가했다.
전문가 의견은 엇갈렸다.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는 “2분기 실적이 시장 우려보다 견조했다”며 “머스크가 경영을 유지할 경우 하반기 ‘모델Y’ 효과로 인도 증가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반면 JP모건의 라이언 브링크먼은 “미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축소와 시장 포화로 인해 하반기 테슬라 판매가 더 저조할 수 있다”며 목표주가를 115달러로 크게 하향 조정했다.
테슬라는 오는 23일 장 마감 후 2분기 영업 및 재무 실적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글로벌 전기차 산업 전환의 시험대에서 테슬라의 성장엔 경고등이 켜졌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테슬라가 시장 내 주도권을 유지할 수 있을지, 미국 정책 변화와 중국 등 경쟁사의 행보에 따라 하반기 판도가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고 있다.
국제사회와 주요 투자자들은 테슬라의 차기 행보와 글로벌 전기차 시장 재편의 향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