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잠수함 연료 공급 결단 요청”…이재명, 트럼프와 한미동맹·조선업 협력 강조
한국과 미국의 정상 외교가 한미동맹의 미래와 한반도 정세를 둘러싸고 긴장감 속에 전개됐다. 29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은 조선업을 비롯한 경제협력 확대, 방위비 분담과 안보 정책 강화, 그리고 북미 정상회담 무산 등 굵직한 현안에 대한 양국 정상의 입장이 맞붙었다. 정국의 이목은 정상회담 직전부터 첨예하게 교차한 경제·안보 이슈와 북미 대화 무산 후폭풍에 집중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대미 투자 및 구매 확대를 통해 미국 제조업 부흥을 지원하겠다”고 밝히며 “조선 협력도 적극적으로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게 양국 경제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한미동맹을 실질화하고 심화하는 데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조선업의 대가(master)”라며 “선박 건조는 필수적인 일이고, 필라델피아 조선소 등에서 협력이 진행되고 있다. 여러분이 들어와 미국에서 함께 배를 만들면 짧은 기간 안에 최고로 올라설 것”이라고 화답했다.

특히 양국의 관세협상이 진전을 이루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방위비 분담금 증액 의지와 함께 구체적으로 핵추진잠수함 연료 공급 허용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요청해 안보 협력 메시지에 쐐기를 박았다. 그는 “핵추진잠수함의 연료를 우리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결단해달라”며 “디젤 잠수함은 잠항 능력이 떨어져 북한이나 중국 측 잠수함 추적에 한계가 있다. 연료 공급을 허용하면 우리의 재래식 무기 장착 핵잠수함이 한반도 해역 방어에 복수 투입돼 미군 부담도 확연히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과 관련해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우라늄 농축 분야에서 실질적 협의 진전이 있도록 지시해달라”고 요청하며 원전 정책에 대한 세부 협력 의제도 제시했다. 또 “대한민국은 방위비 증액과 방위산업 발전을 통해 방위 역량을 대폭 강화하겠다. 미국의 방위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원을 확실히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에서 남과 북이 공식적으로 전쟁 상태임을 알고 있으며, 이를 바로잡기 위해 내가 무엇을 더할 수 있을지 보겠다. 당신의 팀과 함께 매우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양국 정상은 경제와 안보 두 분야의 포괄적 협력 의지가 견고함을 확인했다.
한편 최대 관심사였던 북미 정상회담 무산과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은 “아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진심을 잘 수용하지 못한 것 같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언제든 김정은과의 회담을 수용하겠다고 밝힌 자체만으로도 한반도에 상당한 평화의 온기가 만들어졌다”고 평가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것도 평화의 씨앗이 될 수 있으며 대통령님의 앞으로 활동에 큰 기대를 가진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까지 세계 8곳 분쟁지역의 평화에 기여했다. 세계와 한반도에 평화를 만들어주시면 내가 여건 조성의 ‘페이스메이커’가 되겠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는 잘 지내왔다. 정말 시간만 맞추지 못했다”며 회동 무산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정치권에서는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안보·경제 분야 협력 확대와 방위비 분담 논의가 한층 가속화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북미 대화의 불발이 향후 한반도 평화정책에 어떤 파급을 가져올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원자력협정 개정 등 세부 의제 협의와 방위산업 지원안을 본격 검토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