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사회적 대화 합류에 기대”…우원식, 민주노총에 위기극복 협력 촉구
정치

“사회적 대화 합류에 기대”…우원식, 민주노총에 위기극복 협력 촉구

오승현 기자
입력

국회를 둘러싼 노사정 대화의 새 전선에서 우원식 국회의장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마주했다. 국회 주도 사회적 대화에 민주노총이 공식 참여를 결정하면서 정치권과 노동계의 오랜 갈등이 전환점을 맞고 있다. 핵심 노사정 대화 기구 재편을 두고 국회와 노동계의 전략적 셈법이 맞물리는 양상이다.

 

12일 국회에서 열린 면담에서 우원식 의장은 민주노총의 사회적 대화 합류에 긍정적 기대를 드러냈다. 그는 “중요한 사회 경제 주체 세력들이 참여해 대화하면 복합적인 위기 상황을 잘 극복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다고 기대한다”며, 민주노총이 국회 주도의 논의에 동참한 것을 환영했다. 이는 지난해 8월 우 의장이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한계를 지적하고, 국회 중심의 대화 기구 구성을 제안한 연장선상에서 나온 메시지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여전히 조합 내부에서 회의론이 존재함을 언급하면서도, 새로운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양 위원장은 “민주노총 내에서는 여전히 '국회 주도의 사회적 대화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있을까'라는 우려가 있다”면서, “국회가 단순히 투쟁의 대상이 아니라 노동자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하는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민주노총의 사회적 대화 참여를 두고 서로 상반된 해석이 나온다. 일부 진보성향 의원들은 “국회가 노동 문제 해결의 실질적 주무대로 자리매김하는 계기”라 환영하는 반면, 일각에서는 “노동계의 정책 영향력 확대 시도가 아니냐”는 신중론도 고개를 든다. 전문가들 역시 “노사정 교섭이 제도로 안착하려면 국회와 노동계 모두 실질적 타협의 경험을 쌓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민주노총이 국회 주도 대화 기구에 합류하면서 노동정책 논의 지형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다가오는 정기국회에서는 주요 노동법 개정, 임금·근로시간 등 쟁점 법안 논의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시민사회 또한 “노동계의 실질적 현장 목소리가 국회를 통해 새롭게 반영될 수 있을지”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12일 국회는 민주노총과의 본격 대화를 예고하며 제도적 협의를 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치권은 사회적 대화 기구 가동을 둘러싼 치열한 공방과 협력의 가능성 모두를 주목하며, 향후 국회 내 노동정책 논의가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오승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우원식#민주노총#사회적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