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 40만 원 돌파”…나스닥 상장 기대감에 3년 5개월 만에 최고가
비상장사 두나무 주가가 미국 나스닥 상장 추진 기대감에 힘입어 3년 5개월 만에 최고가를 경신했다. 9월 30일 기준, 두나무는 ‘증권플러스 비상장’ 시장에서 장중 40만5,000원까지 치솟으며 2022년 4월 22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글로벌 증시 입성 예고에 거래량도 평소의 10배를 넘어섰다.
최근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과의 포괄적 주식 교환 합병 추진 소식이 알려지며 시장 이목을 집중시켰다. 네이버 자회사 편입설에 지난 25일 주가가 30만 원 초반대까지 하락했지만, 합병법인의 미국 나스닥 상장 추진설이 확산되며 매수세가 몰렸다. 합병을 통한 글로벌 진출과 기업가치 프리미엄에 대한 기대감이 동시에 반영된 것이다.

업계에서는 두나무가 보유한 가상자산 거래 인프라와 네이버 측의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결제 플랫폼 연계를 토대로 새로운 신사업 시너지가 창출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금융투자업계 일부에서는 이런 신사업 모델이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주목 받을 경우, 합병 법인 시가총액이 최대 50조 원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았다. 참고로,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코인베이스’의 시가총액은 100조 원대를 상회하고 있다.
합병과 미국 증시 입성 추진은 두나무에 국내외 대형 IPO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네이버 측에는 기존 상장사 ‘쪼개기 상장’ 논란 완화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시장에서는 두나무 주가 급등이 합병 시 적용될 주식 교환 비율에도 영향을 미칠지가 주요 관심사다. 현 시점 양사 추정 기업가치는 4대1 수준으로 거론된다. 이 비율이 유지될 경우, 합병 후 송치형 두나무 회장 지분율은 20.4%, 김형년 부회장은 10.5%로 산정된다. 하지만 두나무 주가 상승세가 지속되면 합병 후 송 회장의 지분율이 더 확대될 여지도 남아 있다.
업계 일각에선 두나무 측 오너가 네이버의 장기 최대주주로 부상할 가능성까지 제기되지만, 실제로는 네이버파이낸셜의 단독 상장 가능성에 더 무게가 실린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가 네이버파이낸셜을 재합병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네이버파이낸셜의 단독 상장이 더욱 유력하다”고 말했다.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은 내달 하순 각각 이사회를 열어 합병을 위한 주식 교환 비율 등 세부 사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미국 나스닥 상장 등 글로벌 금융시장 변화에 따라 양사 합병 및 국내 핀테크 업계 전반에 미칠 파급효과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