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챗봇 1달러 제공”…앤스로픽·오픈AI, 미 연방정부 공공시장 본격 격돌
국제

“AI 챗봇 1달러 제공”…앤스로픽·오픈AI, 미 연방정부 공공시장 본격 격돌

정하준 기자
입력

현지시각 12일, 미국(USA) 연방정부를 둘러싼 인공지능(AI) 챗봇 공급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AI 스타트업 앤스로픽(Anthropic)은 1년간 AI 챗봇 ‘클로드(Claude)’를 정부 기관에 단 1달러에 제공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오픈AI(OpenAI)의 ‘챗GPT 엔터프라이즈’가 같은 조건으로 도입된 데 이은 조치로, AI 산업의 판도를 가르는 공공부문 시장 선점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의 AI 리더십을 뒷받침하려면 정부가 최고 성능과 신뢰성을 갖춘 AI에 손쉽게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하며, 이번 공급이 연방의회 의원, 판사 등 다양한 국가기관에도 확대 적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글(Google) 또한 정부 대상 ‘제미나이(Gemini)’ 챗봇 제공 협상을 진전시키며, 빅테크 3사의 경쟁이 사실상 3파전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앤스로픽, 美 정부에 AI챗봇 1달러 공급…AI 시장 공공부문 경쟁 격화
앤스로픽, 美 정부에 AI챗봇 1달러 공급…AI 시장 공공부문 경쟁 격화

이번 경쟁 배경에는 미 연방총무청(GSA)이 오픈AI, 앤스로픽, 구글을 AI 소프트웨어 대량구매 공식 공급사로 선정하고, 각 사의 제품 조달에 제도적 문호를 연 것이 결정적이었다. 전문가들은 “공공부문 거래는 단순 판매를 넘어, 수백만 명 단위의 실제 이용 데이터를 축적해 시장지배력을 공고히 할 수 있는 기회”라고 분석했다.

 

한편, 시장조사에 따르면 ‘챗GPT’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7억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구글 ‘제미나이’도 4억5천만 명이 이용 중인 것으로 나타나며, 산업 전반에 걸친 AI 잠재력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린다. 워싱턴포스트(Washington Post) 등 해외 주요 매체 역시 “공공부문 AI 경쟁이 AI 생태계 패러다임 전환을 앞당기고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저가 경쟁이 기술적 신뢰와 안전, 공정 입찰 구조 등 정책적 쟁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계도 나온다. AI 알고리즘의 책임성, 데이터 보호와 편향 문제 등 공공 신뢰 확보를 위한 기술적·법적 검증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AI 도입 확대 흐름과 함께 연방기관 대규모 거래가 앞으로 글로벌 AI 지도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며, 향후 정부 조달정책 및 기술 규제 움직임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번 조치가 국제 AI 시장 질서와 혁신 경쟁의 새 분수령이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정하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앤스로픽#오픈ai#미국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