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 정상회담 성과 미흡”…트럼프, 한미 정상회담서 외교 성과 노려
트럼프 대통령이 미러 정상회담에서 외교적 성과를 내지 못한 가운데, 오는 25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만회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미러 외교 무대에서의 ‘빈손’ 결과와 비교해,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회담에서 차별화된 실질 성과를 도출하려는 의지가 감지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는 CSIS 주관 팟캐스트를 통해 지난 15일 알래스카에서 개최된 미러 정상회담 이후 상황을 진단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큰 승리는 아니었다”며, 2019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노딜’ 상황과 유사하다고 해석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하노이에서 김정은에게 한 것과 다르지 않다. 당시 그는 협상 타결이 없다면서 회담장을 일찍 떠났다”고도 밝혔다.

차 석좌는 “트럼프 대통령은 연이어 실패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 주 한미 정상회담에서 어떤 종류でも 성공을 원할 것이며, 이는 회담에 좋은 징조”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이어진 외교 현안에서 성과 창출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한편, CSIS의 시드 사일러 선임고문은 한미 정상회담의 분위기가 나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여느 보수주의자 못지않게 미국 대통령의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이미지를 보여줄 것”이라며, 한미정상 간 신뢰 구축에 무게를 실었다. 사일러 고문은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이 걸어온 길을 알고 있으며, 믿을 만한 상대라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두 전문가는 대북 정책을 둘러싼 공조가 한미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로 부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사일러 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신속한 상호작용을 추진하려 할 때 이재명 대통령과의 협력에 편안을 느낄 수 있다”며, 이재명 대통령에게 이번 정상회담이 외교적 성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사일러 고문은 대중국 견제에 관해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더욱 강경한 입장 표명을 요구할 경우 한미 간 긴장도 상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같이 한미 정상회담이 양국 정상의 정치적 이해관계, 동맹 신뢰, 대중 정책 등 복잡한 요소를 띄고 있어, 외교적 성과 도출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향후 한미 양국은 회담 결과에 따라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 그리고 북미외교 전략 등 주요 사안에 전방위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