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에도 행정망 일부 복구”…정부, 1등급 시스템 58% 정상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센터에서 지난 26일 발생한 화재에 따라, 전국 행정 IT 네트워크의 정상화 성패가 산업계에 새로운 경각심을 안기고 있다. 정부는 30일 현재, 가동이 중단됐던 647개 정보 시스템 중 87개가 복구돼 일부 서비스 재개가 이뤄졌다고 공식 발표했다. 국민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1등급 시스템의 경우 정상화율이 58.3%로 집계됐다.
화재가 발생한 국정자원관리원 대전센터는 2층부터 5층까지 9개 전산실을 운영하고 있고, 특히 이번에 손상된 5층 7-1·7·8전산실에는 전체 시스템의 약 51%에 해당하는 330여 개 시스템이 위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 측은 부처별로 화재, 분진 등에 따라 침수 수준에 준하는 물리적 피해는 특정 전산실 7-1실에 몰린 96개 시스템과 일부 서버로 제한됐다고 설명했다.

기술적 관점에서 정부는 이중화 시스템, 클라우드 분산 등 일부 선진 전산복원 체계를 활용했으나, 오프라인 수기로 대체가 불가능했던 일부 부동산, 사회보장 정보 등에서는 현장 주민센터 방문, 수작업 등 임시 방안이 병행됐다. 단기 복구에는 분진제거·시스템 점검이 핵심 과정으로 추가됐다.
도입 이후 20년 이상 운용된 정부 전산자원 통합·분산 관제 시스템이지만, 개별 전산실의 화재·침수 등 비상 상황에서의 복구 체계 미흡, 지역 간 데이터 미러(동시 백업) 한계, 민간 협력 부재 등이 지적됐다. 최근 미국, 유럽에서도 사이버·물리 재난시 상호 백업, 재해복구(DR) 클라우드 이전, 실시간 시나리오별 고도화 등 전산 인프라 위기 대응 전략이 핵심 보안 이슈로 부상했다.
정부는 추가적으로 화재 영향이 적은 2~4층 시스템은 재가동되고, 5층 전산실도 분진 정화 이후 단계별로 작업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피해가 집중된 7-1전산실 96개 시스템에 대해선 대구센터 등 외부 이전, 그리고 민간 ICT기업과 손잡은 복구 시나리오가 추진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가 IT 기반시설의 대형 사고 시, “AI 자동 리커버리, 초연결 클라우드 재배치 등 신속·자율형 재난 대응 체계도 본격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업계는 이번 복구 과정 성과 여부가 향후 국내 공공 정보화 구조 개편의 분수령이 될지 주목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