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가용 통근 1시간 넘기면”…장시간 출근, 외로움 위험 높인다
IT/바이오

“자가용 통근 1시간 넘기면”…장시간 출근, 외로움 위험 높인다

허준호 기자
입력

장시간 자가용 통근이 직장인의 외로움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가 나왔다. 강북삼성병원 성균관의대 직업환경의학과 최백용 교수 연구팀은 2023년 서울 거주 직장인 2만4278명을 분석한 결과, 통근 시간이 60분 초과인 집단이 통근 시간이 30분 이하인 집단보다 가족관계에서 외로움을 느낄 확률이 49%, 가족 외 타인 관계에서 외로움 위험이 36% 높다고 밝혔다. 업계는 이같은 결과가 장시간 통근이 개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유대에 미치는 파장을 보여준다고 해석한다.

 

연구팀은 서울시의 공식 조사 자료 ‘서울서베이 2023’의 외로움 문항을 활용해 외로움을 측정했다. 응답자를 통근 시간별로 30분 이하, 31~60분, 60분 초과 그룹으로 분류했다. 특히, 가족 내 관계와 가족 외 타인 관계로 나눠 외로움을 정밀 평가했다. 연구 결과, 1시간을 넘겨 출근하는 직장인일수록 외로움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통근 수단별 영향도 분석됐다. 60분 초과 집단에서 자가용 이용자의 외로움 지표가 크게 증가한 반면, 대중교통, 도보, 자전거 이용자는 유의한 외로움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이번 연구는 기존의 단순 시간 분석에서 나아가 교통수단 차이에 따른 사회적 고립 양상을 드러냈다.

 

OECD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평균 통근 시간은 58분으로, OECD 국가 평균인 28분에 비해 2배 이상 길다. 통근시간 장기화 현상은 이미 도시·직장 생활 전반의 건강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우울증, 치매, 심뇌혈관 질환 위험 증가와도 연관성이 있다고 의학계는 진단한다.

 

해외 주요 도시들도 장시간 단독 운전 통근 문제에 대응해 ‘카풀’ 활성화, 유연근무제, 근무 공간 분산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ICT, 바이오 헬스케어 등 신기술의 확산이 출퇴근 구조 자체를 바꿀 가능성에 주목한다. 다만 한국의 경우 도시 구조 및 교통체계 변화, 유연근로 정착 등이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최백용 교수는 “통근 시간의 길이가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삶의 질, 더 나아가 예측하지 못했던 정신·신체적 질환 위험까지도 불러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책적으로 통근 시간 단축, 사회적 연대 프로젝트 등 구조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산업계는 장시간 통근 문제가 실제 직장인 삶에 미치는 파급력, 그리고 사회·정신건강에 닥칠 구조적 리스크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허준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강북삼성병원#외로움#통근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