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의 온기, 사회 곳곳 퍼지길”…김민석 총리, 청주 천원식당 방문해 격려
나눔을 둘러싼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되는 가운데, 김민석 국무총리가 직접 청주 '천원식당'을 방문해 현장의 온기를 체감했다. 정부의 복지 정책과 민간 자율 기부가 맞물리며 국민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천원의 아침밥 지원 방안이 소개되는 한편, 김 총리는 민간 나눔 실천 현장에 감사 인사를 더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10월 1일 새벽 충북 청주시 상당구에 위치한 '만나김치식당'을 찾아 1천원에 아침식사를 제공하는 운영 상황을 직접 챙겼다. 이날 김 총리는 식당을 운영하는 박영숙 씨를 만나 "정부에서도 '대학생 천원의 아침밥' 등을 하고 있는데 여기가 원조"라며 "국민소득 3만불이 넘는 시대에도 마음 편히 아침을 먹을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정부도 이런 뜻깊은 나눔의 온기가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질 수 있도록 이어받아서 일하겠다"고 약속했다.

박영숙 씨가 운영하는 '만나김치식당'은 2006년부터 현장 근로자와 주변 어르신 등 지역 취약계층에게 무료 아침밥을 제공하면서 지역사회 나눔 문화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2008년부터는 현장 수요와 지속 가능성을 고려해 1천원을 받기 시작했다.
이 자리에서 김민석 총리는 박 씨에게 쌀을 후원품으로 전달하며 "현장에서 실천되는 작은 나눔이야말로 큰 공동체 의식을 만든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부 차원의 부담 완화와 민간 자율성 강화의 병행 필요성도 언급됐다.
정치권에서는 정부가 올해 확대 추진 중인 '천원의 아침밥' 지원 정책이 사회 전반의 물가 부담, 청년층·소외계층 지원 방안과 연계된다는 평가가 나온다. 야권은 민간 차원의 선행이 오히려 사회안전망 부족을 반증한다고 지적하며, 정부 복지 정책 강화와 행정적 지원 확대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 반면 여권은 “민간의 자발적 나눔 실천이 국가정책 보완의 모범”이라며 이 같은 현장이 더 넓게 확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회 전반에선 물가 고공행진과 복지 수요 증가로 아침밥 한 끼의 무게가 커졌다. 전문가들은 “취약계층을 위한 식사 지원 사업과 시민사회의 연대가 앞으로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고 분석한다.
정부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의 확대와 동시에, 민간 자율 나눔 활동과 협력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할 방침이다. 정치권과 민간의 연대가 복지 사각지대 해소로 이어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