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금리인하 기대에 랠리”…뉴욕증시 3대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현지시각 19일, 미국(USA) 뉴욕증시에서 3대 대표 주가지수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인하 기대와 미·중 정상 외교 재개 소식에 힘입어 일제히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상승세는 미중 관계 개선 신호와 통화정책 완화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이날 46,315.27로 0.37% 올랐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종합지수도 각각 6,664.36(0.49% 상승), 22,631.48(0.72% 상승)로 마감했다. 모두 장중 및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반면 중·소형주를 대표하는 러셀2000지수는 장중 강세를 보였으나, 0.77% 하락 마감했다.

연준의 올해 금리인하 사이클 재개 기대감이 업종별 주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기술’ 섹터는 1.19% 뛰며 대장 역할을 했고, 대형 IT주 강세가 돋보였다. 알파벳(구글)은 A·C주 모두 1% 이상 올랐고, 종가 시가총액이 3조8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애플 역시 아이폰17 출시 기대와 가격 인상 전망에 3.20% 상승했다. 오라클은 오픈AI와의 대형 공급 계약 소식에 4% 넘게 급등했다. 반면, 인텔은 전일 급등세 이후 씨티의 투자 의견 하향에 3% 이상 하락했고, 브로드컴과 메타플랫폼스도 약세를 보였다. ‘에너지’ 섹터는 1.28% 하락하며 대조됐다.
시장에서는 경제지표 발표나 주요 이슈가 없었던 만큼 연준 및 정상외교에 주목하며 관망세가 이어졌다.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의 니일 카시카리 총재는 올해 연준이 추가로 두 차례 금리인하를 단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언급했다. 스티븐 마이런 신임 연준 이사는 연준 통화정책의 독립성을 재차 강조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통화에서 10월 한국 경주에서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했다는 점이다. 양국간 무역, 관세, 펜타닐 등 현안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정상 간 만남을 재개하는 것은 관계 안정화 기대에 힘을 실었다. 이에 대해 미국 금융권 전문 매체들은 “정상외교 복원 움직임이 양국간 긴장 완화를 도울 수 있다”고 평가했다.
금리 정책 전망도 시장의 관심사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 인하(25bp) 가능성은 91.9%로, 전일과 동일하게 반영됐다. 시장 변동성 지수인 VIX는 1.59% 하락해 15.45로 집계되며 안도감을 보였다.
대형 호재 속에서도 업계에선 최고치 경신 이후 단기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견해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연준의 완화적 정책 신호와 미·중 정상외교 재개가 세계 증시의 추가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지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증시 랠리가 향후 글로벌 투자 환경과 미·중 경제 관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국제사회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