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나이벡 복합 대사질환 신약 전임상 성과”…근육 보존·간섬유화 개선 입증

강민혁 기자
입력

펩타이드 신약 개발 기업 나이벡이 복합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 나이벡에 따르면, 21일부터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제20회 펩타이드 치료학 심포지엄’에서 신약 후보물질 ‘리제노타이드(NP-201, NIPEP-AOP)’의 전임상 연구 결과가 공개되며 비만, 간질환, 근감소증 등 복합 대사질환 치료 영역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됐다.

 

리제노타이드는 GLP-1 계열 비만 치료제의 부작용인 근육량 손실 문제를 개선하고자 개발된 19개 아미노산 합성 펩타이드다.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실험용 마우스에서 지방 축적이 60% 이상 억제됐고, 근섬유 단면적은 2배 확대됐다. 간 섬유화 주요 지표인 α-SMA도 GLP-1 대비 약 50% 감소하는 등, 지방·근육·간을 모두 아우르는 대사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출처=나이벡
출처=나이벡

근육 재생 효과도 눈에 띄었다. MyoD1 단백질 발현량은 GLP-1 대비 약 1.5배, 위성세포 마커 Pax7 발현도 1.5배 넘게 증가해 근육 유지와 재생을 뒷받침했다. 지방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C/EBPα, PPARγ, aP2) 역시 대조군에 비해 40~60% 억제됐다.

 

체중 감량 효과에서 리제노타이드는 GLP-1 제제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나, 근육 보존은 약 1.5배, 간 섬유화 개선은 GLP-1 대비 50% 더 강한 항섬유화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면 간 섬유화 개선 효과는 70%에 달했다.

 

나이벡은 리제노타이드가 이미 임상 1상에서 안전성을 입증한 데다, 폐섬유증 적응증으로는 기술이전 절차를 마쳤고, 비만·MASH 등 대사질환 영역은 독자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미국 심포지엄 발표가 적응증 확장 전임상 연구의 첫 공식 성과라는 게 회사 설명이다.

 

정종평 나이벡 대표는 “리제노타이드는 지방 감소, 근육 보존, 간섬유화 개선 등 복수 표적을 동시에 잡아내는 펩타이드 치료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리제노타이드가 향후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과 간질환, 근감소증 치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지 주목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글로벌 대사질환 치료 패러다임 변화와 신약 후보 성과에 따라, 향후 기술이전 확대와 시장 전망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향후 국내외 임상 진전 결과와 정부의 바이오 산업 지원 정책이 기술 상용화와 신약 시장 성장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나이벡#리제노타이드#펩타이드치료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