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9월 소비자물가 3.0% 상승”…시장 예상치 하회에 정책 완화 기대감 확산
현지시각 24일, 미국(USA) 노동부가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3.0%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수치는 시장 전망을 소폭 밑돌았으며, 발표 즉시 뉴욕 금융시장에서 위험자산 선호와 국채 금리 하락 등 안도감이 확산됐다. 올해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둔 시점에서, 미국물가와 통화정책 전망에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 노동부는 이날 발표에서 9월 CPI가 전월 대비 0.3% 상승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 역시 전년 동기 대비 3.0% 오르며, 8월(3.1%)에 비해 상승폭이 둔화됐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시장 기대치보다 대표 및 근원 CPI 모두 각각 0.1%포인트 하회한 수치다. 이 같은 결과에 뉴욕증시 S&P500 선물은 동부시각 9시 15분 기준 0.6% 상승했다.

통계 발표 배경에는 최근 연방정부 셧다운 영향으로 노동통계국의 일부 업무가 중단된 점이 있다. 다만, 이번 CPI는 사회보장국 연금 지급액 산정에 필수적인 만큼 예외적으로 발표됐다. 반면, 비농업 고용지표 등 주요 통계는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
주요국 중앙은행의 긴축 기조가 여전한 가운데, 이번 CPI 둔화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 결정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금융시장에선 연준의 10월 FOMC에서 기준금리 인하 확률이 98.9%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현지 경제전문가들은 아직 미국 소비자물가가 연준 목표치인 2%를 웃돌고 있지만, 노동시장 둔화 신호와 경기 하방 위험이 고려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고 진단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최근 “노동시장이 다소 약화됐다”고 공식 발언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BC 등 미국 주요 매체는 “예상치 하회가 금융시장에 일단 안도감을 줬으나, 고용지표 등 핵심 수치 발표가 지연되고 있어 연준이 당장 성급하게 움직일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향후 연준의 금리방향, 사회보장제도 수혜 조정, 고용지표 발표 일정 등이 단기 변수로 작용하며 국제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노동시장의 냉각 조짐과 통화정책 완화 기대가 맞물리는 양상이다.
이번 9월 물가지표가 미국(USA)과 글로벌 금융시장에 어떤 중장기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국제사회는 연준의 정책 대응과 혹시 모를 금리 인하 타이밍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