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소망을 가슴에 새겼다”…이재명, 취임 한 달 기자회견서 소통·민생 방점
정치적 소통의 방식과 시점에서 또 한 번의 충돌이 일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취임 30일을 맞아 열린 첫 기자회견에서 직접 소통과 민생 행보 의지를 강조하며, 정치권의 긴장감이 높아졌다. 기존 대통령들과 달리,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100일’이 아닌 ‘30일’ 시점에서 국민과 언론의 질문에 바로 답하는 행보를 택했다. 여론은 이 같은 파격적 실험에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
3일 오전 10시,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된 회견은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형식으로 열렸다. 대통령실은 “소통 의지를 반영해 질의응답이 사전 조율 없이 진행된다”고 밝혔고,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국민의 간절한 열망과 소망을 매 순간 가슴에 새기며 치열히 달려온 시간이었다”고 언급했다. 이어 “절박한 각오로 쉼 없이 달려온 지난 시간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4년 11개월의 각오를 새롭게 다지겠다”며 임기 초심을 다짐했다.

회견장에서는 민생·경제, 정치·외교안보, 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의 질문이 즉석에서 쏟아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정의 방향과 비전까지 주권자 국민의 질문에 겸허히 답할 것”임을 재차 강조했으며, “민생 최우선, 협치 노력”과 “공감 외교” 등 기존 국정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역시 “대본 없는 소통 자체가 큰 의미”라며 기자회견의 취지를 부연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소통 강화형 정부’ 구상이 실제 정국 운영 전환점이 될지 촉각을 세우는 모습이다. 노동정책, 소비쿠폰 등 주요 공약의 진척 상황과, 향후 민생 드라이브 노선이 어떤 충돌과 협치의 틀 속에 안착할지도 관심을 끌고 있다. 시민사회단체 역시 파격적 기자회견 방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여론이 적지 않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소통이 실질적 변화로 이어질지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론을 유지했다. 정치권 내에서는 향후 추가 회견, 국회 협치 등과 연계된 실질적 성과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임기 내내 이 같은 소통 행보가 일회성에 머무르지 않을지를 두고도 다양한 의견이 공존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끝으로 “민생경제 회복, 검찰개혁 등 현안을 국정 최우선 가치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역시 “이번 회견이 개방적 리더십, 국민주권 원칙을 굳히는 계기”라고 의미를 덧붙였다.
이날 기자회견을 계기로 정치권 전체가 직접 대화와 현안 중심 소통의 중요성을 다시 주목했다. 향후 이재명 대통령의 소통이 국민적 신뢰와 정책 추진력 강화를 이끌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