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임금상승률 3.7% 급락”…미국(USA), 고용지표 부진에 사회 양극화 우려
현지시각 4일, 미국(USA) 정부가 발표한 7월 고용지표에서 저소득층 노동자의 임금상승률이 3.7%로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도 7만3천명 증가에 그치며 전문가 전망을 크게 밑돌았다. 고용지표 악화는 미국 사회 내 임금 격차 확대와 경기 둔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2024년 6월 기준 주당 806달러(약 111만 원) 미만을 받는 하위 25% 노동자의 연간 임금상승률은 3.7%로, 2022년 말 팬데믹 이후 7.5%에서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반면, 주당 1,887달러(약 261만 원) 이상인 상위 25% 노동자의 임금상승률은 4.7%를 기록했다. 전체 평균 임금상승률도 4.3%에 그쳤다.

미 노동부는 7월 고용보고서에서 비농업 부문 일자리가 7만3천명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10만 명을 크게 하회하는 수치다. 아울러, 5~6월 고용 증가치가 하향 조정돼 그동안의 일자리 증가세도 과대평가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고용지표 악화와 함께 저소득층의 실질 소득 둔화 현상이 뚜렷하게 드러난 셈이다.
고용 부진 통계 발표 직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노동통계국장 에리카 맥엔타퍼를 해임하는 강경 조치에 나섰다. 이에 대해 윌리엄 비치 전 노동통계국장은 “통계기관의 독립성과 신뢰성 훼손”이라고 비판했다. 대비해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데이터는 선전물이 될 수 없다”며 해임을 두둔했다.
이번 임금·고용 악화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확대, 정부 지출 삭감 등 정책 영향도 거론된다.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저소득 가계의 단기 가처분 소득이 3% 넘게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했고, 상위 10% 가계는 1% 수준의 영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뉴욕타임스와 CNN 등 미국 주요 매체들은 “통계 신뢰성 논란이 트럼프 행정부 정책 불확실성과 맞물려 미국 경제 불안정성을 키우고 있다”고 평가했다. 증시와 금융시장도 고용지표 부진 및 정책 변화 가능성에 따라 변동성이 커지는 양상이다.
전문가들은 미국(USA) 내 임금 격차 심화와 통계기관 독립성 논란이 경제 정책 신뢰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진단한다. 향후 미국 정부의 통계 발표 및 고용 정책 변화가 글로벌 시장에도 어떠한 파장을 줄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