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60분 양평 고속도로 격돌”…김건희 일가, 29필지 진실→공익의 무게 어디로
균열이 스며든 양평의 땅 위에 김건희 여사 가족의 이름은 깊게 새겨졌다. KBS 1TV ‘추적 60분’ 1425회는 김건희 여사 일가가 보유한 29필지의 토지, 그리고 양평 고속도로 종점 변경을 둘러싼 특혜 의혹의 미로를 면밀히 비춘다. 한 가족의 손바닥에서 다시 쓰여진 부동산 지도 위로, 누가 진정한 이득을 거두고 누가 책임을 짊어져야 하는지, 시청자의 마음에 묵직한 질문을 새긴다.
김건희 여사 가족이 평생에 걸쳐 매입해온 전국 각지의 토지는 정재흥 감정평가사 분석에 따라 125억 원에 이르는 자산 가치로 계산됐다. 특히 강상면 일대 20필지는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이 당초 양서면에서 강상면으로 급작스럽게 변경된 상황과 맞물려, 시민사회와 야당의 거센 비판에 휩싸였다. 이 종점 반경 5km 안에는 김건희 일가 소유의 땅이 촘촘히 깔렸고, 지역민은 물론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공적 책임 논란이 불거졌다.

양평 공흥지구 분양에서는 더욱 강렬한 논란이 펼쳐졌다. 김건희 일가는 인허가의 벽을 넘으면서 분양 매출 800억 원, 개발이익 100억 원을 거둬들였으나, 개발부담금은 전혀 부담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확인되며, ‘탈세 수준의 편법’이라는 민생연구소 안진걸 소장의 평가가 이어졌다. 윤석열 대통령과의 인연을 내비쳤던 김선교 의원도 특례와 허가에 대한 질의에 답을 회피하며, 의혹의 그림자만을 키웠다.
송파문화원장 출신의 김충식 씨 역시 1990년대에 김건희 일가와 얽힌 동업관계, 개발 호재 선점, 아산 토지보상 등 겹겹의 이익 네트워크 중심에 놓였다. 방송에는 김충식 씨가 ‘해결사’로 지목된 여러 진술이 공개돼 궁금증을 자극했다.
양평군 6년 이장 출신 최대석 씨는 고속도로 종점 변경이 지역민 모르게 긴급하게 이뤄졌다고 증언했다. 국토부와 인수위원회 등 행정 라인의 개입 의혹은 해소되지 않았고, 그 사이 실제 피해자는 제대로 된 교통망도 개발도 없이 혼잡과 매연에 놓인 군민이라 강조됐다. 한준호 국토위 의원은 “특혜 논의가 인수위 시절부터 시작됐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번 사안의 행정적 투명성에 의문을 키웠다.
논란의 갈림길에서 ‘추적 60분’은 크게 세 갈래의 목소리를 따라간다. 시민단체, 부동산 전문가, 현장 주민이 각자 겪은 문제를 꺼내 놓으며, 대통령 가족이 연루된 특혜의 진실과 그 구조 뒤에 자리한 공공의 책임을 다시 물었다. 이 논쟁은 쉽게 끝나지 않고, 시청자의 품에 한참을 맴돌았다.
엔딩 크레딧이 흐르는 순간에도 남은 의혹의 여운은 쉽사리 가시지 않았다. KBS 1TV ‘추적 60분’은 9월 12일 금요일 밤 10시, 김건희 일가의 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을 심층 취재로 풀어내며, 대한민국 부동산 행정의 본질과 공공성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시청자 앞에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