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식중독 예방 총력”…식약처, 지역축제 안전망 강화
가을철 지역축제 식음료 안전이 산업·공공 보건의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17개 시·도와 공동으로 개최 현황과 식음료 위생관리 방안을 논의하는 등, 조직적인 식중독 예방 대책 마련에 나섰다. 올해 전국 지역축제 1214건 중 약 41%가 9~11월에 집중되며, 특히 10월에만 287건이 개최될 예정인 만큼, 행사장 식품안전 강화가 산업·지역경제 활성화와 공중보건 모두에 파급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식약처는 최근 영상회의를 통해 식중독 발생 사례와 주요 위험요소를 공유하고, 행사장 내 한시적 음식점 중심의 철저한 조리·보관·위생수칙 준수를 강조했다. 쌀쌀한 아침과 달리 낮 기온 상승, 대량 주문과 임시 운영 등 축제 특성상 기존 위생 관리의 한계를 보완해야 한다는 인식도 확산되고 있다.
특히 식약처는 도시락·포장음식 주문 시 해썹(HACCP) 인증 시설 제품 이용을 권고하고, 배달음식은 여러 업체를 분산 이용할 것을 제안했다. 한시적 축제 음식점이 외부 조리 음식을 반입·판매할 경우 ‘식품위생법’ 위반 행정처분이 가능함을 알렸다. 대량 구입 및 장기간 보관보다, 당일 소비분만 구매해 온도·위생 기준을 철저히 준수하는 방식으로 현장 실효성도 제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지자체도 행사장 및 인근 영업장의 사전 위생점검을 의무화하는 등, 현장 단계별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글로벌 식음료 산업에서는 이미 현장 모니터링과 식품이력 관리 시스템 도입이 보편화된 가운데, 국내 역시 디지털 식품안전 인프라 확장 논의가 진행 중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국민이 안심하고 지역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력해 안전·위생관리를 강화하고, 식중독 예방 활동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올해 가을철 식중독 예방 정책이 현장에 뿌리내릴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