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해상 선박 전파교란 잡는다”…민관, 합동 재난대응 체계 강화

김서준 기자
입력

해상에서 발생하는 선박 전파교란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민관 합동 위기 대응 훈련이 실제 상황을 방불케 하는 현장 시나리오로 진행됐다. 중앙전파관리소가 주관한 이 훈련은 4일 제주항 일대에서 열렸으며, 제주지방해양경찰청특공대, 제주광역해상교통관제센터 등 해상 안전관리 관계기관이 참여했다. 최근 기술 발전과 함께 전파 자원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각종 통신 교란 사고에 대한 신속한 현장 대응은 해양 물류와 선박 안전을 좌우할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해상 선박 이동 중 발생 가능한 복합 전파재난 상황에 초점을 맞췄다. 기존의 육상 정지 지점 중심 시나리오를 넘어서, 선박 내에서 GPS 및 VHF 통신 대역 등 다양한 전파 위협 요소를 가정했다. 특히, 재난안전통신망(PS-LTE)과 같은 현행 무선 통신 인프라의 조기 연동성과 실효성을 실제 상황에서 확인했다.

훈련 과정에서는 제주전파관리소 혼신조사팀이 직접 혼신 신호의 탐지와 원인 제거에 나섰고, 해양경찰특공대가 전파교란을 시도하는 세력을 현장에서 제압하는 등 실제 전파 위기 대응 프로세스 전반이 적용됐다. 불법 드론 활용 테러 등 신유형 위협도 시나리오에 반영해, 단순 혼신을 넘어선 다양한 교란 상황에 대응 가능한 프로토콜을 점검했다.

 

국내에서 민간과 공공기관의 협업을 통한 해상 전파재난 대응 훈련은 점점 더 복잡해지는 산업 현장과 수요자 요구에 대응하는 중요한 모범으로 꼽힌다. 실제 해운·어선·항만 IT플랫폼 운영자 입장에서도 전파 안정성 확보는 선박 위치 확인, 교신, 긴급 구조와 직결된 핵심 안전 요소다.

 

글로벌 기준에서도 북미·유럽 항만에서 위성·무선통신 기반 혼신 위협에 대한 대규모 실전 훈련이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한국도 신기술 도입과 더불어, 현장 대응력 점검과 기관 협업 체계의 실효성 확보가 경쟁력이 될 전망이다.

 

국내 전파관리 정책은 해상·항만 무선통신 생태계까지 범위를 확장하며, 실전형 훈련과 빠른 교란 대응 프로토콜 마련에 방점을 두고 있다. 전문가들은 “해상 전파 위기 유형이 늘어나는 가운데, 기관 협업 및 실전 대응 시스템 강화가 안전망의 핵심 축이 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합동 대응 훈련을 비롯한 실적 기반 노력이 해상 통신 안전의 표준으로 자리잡을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정책, 제도적 연계가 지속적으로 강화돼야, 실제 위기 상황에서 생명·물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조언도 나온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중앙전파관리소#전파교란#재난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