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 탄소 감축 청사진”…현대차·기아, 공급망 저탄소 전환→상생 협력 본격화
현대차와 기아가 국내 자동차 산업 공급망 전반에 대한 저탄소 전환을 위한 새로운 상생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양사는 17일 1차·2차 협력사를 포함한 주요 부품 기업 87개사와 함께 ‘자동차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협약’을 체결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협약은 완성차 기업, 정부, 중소 벤처기업부 등 공공과 민간이 함께 만드는 공급망 탄소 저감 공동 전략의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오는 EU 등 주요국 환경 규제는 기존 공장 단위 기준을 넘어 완성차의 부품까지 모조리 관리 대상에 포함하는 추세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차·기아 등 완성차 기업들은 공급망 내에서 발생하는 탄소 발자국 관리가 산업경쟁력의 핵심 변수로 대두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산업부는 올해 LG전자, 포스코, LX하우시스, LG화학 등 대형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전개하고, 내년부터 ‘산업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을 본격 확대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중기벤처부는 중소 협력사의 설비 교체 지원 규모를 늘려 저탄소 설비 투자가 실질적 효과로 연결되도록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정부와 현대차·기아가 1차 협력사의 설비 현대화를 우선 지원하고, 1차 협력사는 이를 중기벤처부와 연결해 2차 협력사의 저탄소 전환까지 유도하는 연쇄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데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자동차 공급망 전반에 걸친 탄소 감축 시너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를 모은다. 현대차·기아의 관계자는 “지속 가능 경영의 실질적 실천과 산업 생태계 혁신이란 중장기적 가치 실현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선제적 탄소 절감 이행이 향후 수출 경쟁력 확보와 국제 공급망 안정에 핵심적 기여를 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