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정부, 1천600억 인도 지원”…외교부 김진아, UNDP 등과 파트너십 강화
정치

“정부, 1천600억 인도 지원”…외교부 김진아, UNDP 등과 파트너십 강화

조수빈 기자
입력

중동과 아프리카 등 분쟁과 기근에 직면한 위기 지역을 놓고 외교부와 국제기구가 인도적 지원 전략을 두고 맞붙었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스페인 세비야에서 유엔개발계획(UNDP)과 유엔아동기금(UNICEF), 세계식량계획(WFP) 수석대표와 회동하며 총 1천600억원 규모의 연내 인도적 지원이 추진된다. 정부의 예산 활용 전략과 국제사회 파트너십이 새 국면을 맞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김진아 2차관은 1일(현지시간)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린 제4차 개발재원총회를 계기로 3대 유엔 개발기구와 합동 면담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김 차관은 “한국이 국력과 위상에 걸맞은 국제사회 기여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각 기구 대표단은 한국 정부에 감사를 표명하며, 향후 동반자 관계 확대에 기대를 내비쳤다.

2025년 한국 정부의 인도적 지원은 기존 다수 소규모 사업 중심에서 벗어나, 위기 지역별로 통합적 협력 구조로 바뀐다. 예산 집행 대상은 긴급구호(UNDP), 아동·보건(UNICEF), 식량(WFP) 등 각 분야 전문성을 갖춘 국제기구와의 파트너십 강화에 초점을 맞춘다. UNDP, UNICEF, WFP와의 협력 아래 중동에는 6천500만 달러, 아시아 4천만 달러, 아프리카 2천200만 달러로 총 1천600억 원의 지원이 예정됐다.

 

지원 사업은 팔레스타인(가자지구 등), 시리아, 미얀마, 수단 등 장기적 무력 충돌과 만성 기근에 대응하는 국가·지역이 우선 대상이 된다. 외교부는 “예년과 비슷한 예산이지만, 국제 개발협력 환경 변화에 맞춰 기여 효과성과 가시성을 크게 높일 것”이라며 “정부의 국제기구 내 영향력 확대도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정치권은 정부의 이번 지원을 놓고 국제사회 내 한국의 위상 강화와 인도적 책임 실현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주목하고 있다. 특히 분쟁 당사국과의 지속적 협조, 예산 운용의 효율성, 현지 민감성에 대한 고려가 핵심 평가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전략 변화가 국제사회 내 실질적 기여를 높일 수 있을지 주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올해 중 시행 경과를 점검하며, 필요시 지원 대상과 예산 구조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인도적 위기가 장기화되는 만큼 국제 무대에서의 정책·협력 노선 변화도 이어질 전망이다.

조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진아#외교부#und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