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과학기술 인재 유출 경고음"…삼성, 정책 전환 촉구 속 정부 TF 출범
IT/바이오

"과학기술 인재 유출 경고음"…삼성, 정책 전환 촉구 속 정부 TF 출범

박다해 기자
입력

과학기술 인재 유출이 한국 산업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위협할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삼성전자 대표를 지낸 경계현 고문이 12일 ‘과학기술 인재 유출 방지 및 유치 대책 마련을 위한 민관합동 태스크포스(TF)’ 첫 회의에서 “한국이 과학기술인에게 매력적이지 않다”며 대대적 혁신을 촉구했다. 업계는 경 고문의 지적을 첨단 산업 혁신과 글로벌 인재 확보 경쟁의 분기점으로 본다.

 

경계현 고문은 “경제 성장률은 노동투자·자본투자·생산성 증가로 구성되는데, 2030년부터 노동투자는 마이너스, 자본투자도 감소세”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결국 인적 생산성 혁신이 유일한 해법인데, 젊은 과학기술인은 국내에서 의사 등 타직군으로 이탈하거나 해외로 떠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의사는 법과 사회적 인정, 경제적 보상이 보장되지만 과학기술인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처지에 있다”며 “해외 근무 경험자들은 자유로운 연구 환경과 직장 이동, 다양성 보장 등에서 국내가 경쟁력을 잃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민관합동 TF를 본격 가동했다. 9개 부처 실장급 인사와 대통령직속 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인재특별위원회 위원, 그리고 네이버·NC AI 등 민간 전문가들이 위원단에 합류했다. TF는 9월까지 인재 유입부터 성장·취업·정착에 이르는 전 주기 지원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정책 추진과제 도출과 더불어 민간기업·학계·연구계가 참여하는 범정부 협력 체계를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공계 기피, 우수 인력의 해외 이탈, 과학기술 직종 종사자 사기 저하 등 산업 생태계 전반에 대한 진단이 이뤄졌다. 구혁채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지금 이 순간에도 해외 이직을 고민 중인 과학기술인이 있다”며, “대한민국이 미래를 함께 할 수 있는 나라라는 확신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인재 유치와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구체적 후속 방안과 정책 홍보, 현장 소통 강화 등이 제시됐다. 정부는 이 대책을 새정부 1호 인재정책으로 명확히 규정하고, 산업 구조 혁신과 인재 확보 경쟁이 향후 한국 IT·바이오 산업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산업계는 이번 대책이 실제로 과학기술 인재의 이탈을 막고 경쟁력을 높일지 주목하고 있다.

박다해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삼성#경계현#과기정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