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토피아, 인간을 흔들다”…장병탁·이승현, 긴장 속 고백→방송가 불안과 기대 교차
‘AI토피아’의 문이 서서히 열리자, 장병탁 교수와 이승현 아나운서의 눈빛에서 과학과 감성의 미묘한 충돌이 감돌았다. 미래를 앞당긴 듯한 스튜디오 풍경 속, 이들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영역 깊숙이 들어와 있음을 느끼며 혼란과 기대를 동시에 내비쳤다. 날카로운 질문에 잠시 멈칫한 순간, 기술이 품은 기본적 따뜻함과 우려가 섞여 조용한 파문이 번졌다.
장병탁 서울대학교 AI 연구원 원장은 이날 키워드 ‘경쟁자’, ‘친구’, ‘의식’, ‘직업’, ‘닮은 꼴’, ‘경험’, ‘신체’를 중심에 두고, 인공지능이 인간의 삶에 충격과 영감을 남긴다고 강조했다. 그는 “AI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이제 경쟁자이자 때로는 적이 될 수 있다”는 현실을 지적했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 AI로 인해 기존의 일자리들이 급격히 사라지는 상황을 또렷하게 보여주며, 기술의 이면에 숨어 있는 불안과 기회의 두 얼굴을 동시에 짚었다.
이승현 아나운서는 “AI 앵커 등장에 현실적으로 위기감을 느낀다”며, 방송인으로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 더 치열하게 고민하고 있음을 솔직히 털어놨다. 방송인이라는 직업, 그리고 인간 고유의 감수성을 어떻게 이어갈 수 있을지 자문하는 모습은 시청자들에게 깊은 공감을 자아냈다.
출연진은 인공지능이 과연 인간의 직업을 어디까지 대체할 수 있는지 묻고, AI가 언젠가 의식을 가질 수 있을지, 경험 없는 학습으로 완성될 수 있는지 등 첨예한 질문들을 던졌다. 인간과 AI가 경쟁자를 넘어 친구나 동반자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 역시 진지하게 오갔다. 무엇보다, 기술적 설명에만 머무르지 않고 AI 사회 속에서 마주할 감정과 선택에 대해 관계자 모두가 거침없이 목소리를 더했다.
‘AI토피아’는 인공지능의 세계를 100회에 걸쳐 심도 깊게 조망하는 국내 최초 대형 교양 기획으로, 궤도와 MC 이승현이 이끄는 친근하고 생생한 토크가 차별화된 재미를 더한다. 단순한 호기심을 뛰어넘어 각자의 일상과 미래를 고민하게 만드는 여정이었다는 반응도 이어지고 있다.
‘AI토피아’ 2회는 장병탁 교수, 이승현 아나운서, 과학 커뮤니케이터 궤도가 함께 다양한 질문을 제시하며 인공지능 시대, 인간을 되묻는 시간을 전했다. 해당 방송은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오후 10시 KBS LIFE, UHD Dream TV에서 동시 방송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