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국산 전구체 양극재 첫 출하”…포스코퓨처엠, 미 공급 확대 본격 시동
경제

“국산 전구체 양극재 첫 출하”…포스코퓨처엠, 미 공급 확대 본격 시동

강민혁 기자
입력

포스코퓨처엠이 국산 전구체를 활용한 양극재를 처음 출하하며 미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 납품을 본격화한다. 국내 배터리 소재 산업의 중국 의존 극복과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 확보에 중요한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8일 포스코퓨처엠에 따르면, 전남 광양 전구체 공장에서 생산된 국산 원료를 바탕으로 한 하이니켈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양극재가 지난달 26일 첫 출하됐다. 이 제품은 LG에너지솔루션과 GM이 합작한 얼티엄셀즈의 미국 내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에 공급될 예정이다.

출처=포스코퓨처엠
출처=포스코퓨처엠

미국은 최근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와 금지외국법인(PFE) 규정을 도입하며 중국산 배터리 소재에 대한 규제를 대폭 강화해왔다. 업계는 이에 대응해 국내산 전구체와 양극재 생산 확대에 나서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국내 전구체의 대중(對中) 수입 의존도는 9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첫 출하를 기점으로, 포스코퓨처엠은 포항 등 주요 거점 공장에서의 독립적 생산을 확대해 국산 배터리 소재의 글로벌 공급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투자업계는 자급 체제 전환이 미국뿐 아니라 유럽, 인도 등 글로벌 시장 내 경쟁력 제고로 이어질 것으로 관측한다.

 

배터리 산업 전문가들은 “미국 및 주요 시장의 공급망 규제 본격화로, 소재·부품 국산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라며 “기술적 신뢰와 물량 확대가 동시에 이뤄질 경우, 국내 배터리 업계의 위상도 급속히 달라질 수 있다”고 해석했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포스코 그룹 계열사와 함께 원료부터 양극재까지 자급 체제를 완성해 미국 등지 공급망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물량은 최근 6월 완공된 광양 전구체 공장에서 생산된 것으로, 향후 포항 양극재 공장까지 독립적인 생산과 납품체계가 확장될 예정이다. 이는 국내 배터리 소재 산업의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 등 첨단 제조업 체계의 공급망 파트너십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국내 기업들의 소재 자급체제 강화 움직임과 해외 정책 동향에 따라 배터리 시장의 흐름이 달라질 전망이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포스코퓨처엠#lg에너지솔루션#얼티엄셀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