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조현 외교장관, 루비오 미 국무와 첫 회담 ‘건설적’ 평가
정치적 기류가 한미 양국 외교라인을 통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 개최 시점과 의제 설정을 둘러싼 물밑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워싱턴에서 첫 공식 회동했다. 한미 무역협상 타결 이후 양국의 협력 방향과 북핵 해법이 재조명되는 상황에서, 이재명 정부 첫 정상 외교가 정국에 새로운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주미대사관에서 특파원단 간담회를 열고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정상회담의 일정을 한미가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직전에 열린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의 양자회담이 “건설적이고 좋았다”고 평가했다. 한미 외교장관의 대면은 양국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정상회담 개최를 앞둔 사전 정지작업 성격을 띠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미 외교수장 회담에서는 전날 타결된 한미 무역협상의 성과와 향후 발전 방향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조 장관은 “어제 일(한미 무역협상 타결)이 잘 된 것을 확인했고, 어떻게 잘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미동맹 관련 이슈도 방안에서 심도 깊게 논의했다”며 북핵 공조, 한미일 3자 협력 강화 등이 거론됐다고 부연했다.
양측은 특히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 목표 아래 실질적 협력 의지를 재확인했다. 조 장관은 “루비오 장관은 여러 가지 제가 들고 온 이슈에 대해 잘 대답을 했고 자기 할 이야기도 했다”고 전했다. 정상 간 관행에 따라 구체적 일정은 추가 조율이 남아 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이 2주 안에 미국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혀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다.
이재명 정부의 첫 한미정상회담 개최가 공식화될 경우, 한반도 정세와 동북아 외교 지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여야 정치권은 북핵 문제 해법과 대외경제 전략에 대한 논쟁을 이어가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한미동맹이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재정비될 소지가 크다”고 평가했다.
외교부는 양국 실무 협의를 바탕으로 정상회담 일정과 의제를 추가로 검토하고 공식 발표 시점을 조율할 계획이다. 한미 양국의 대면 정상외교가 동맹 수준 강화의 분기점이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