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전환·고령화 해법 논의”…조현 외교부 장관, APEC 민관대화서 정책 중심 강조
정치

“AI 전환·고령화 해법 논의”…조현 외교부 장관, APEC 민관대화서 정책 중심 강조

이도윤 기자
입력

AI 전환과 고령화 대응을 둘러싼 국제적 논의가 뜨거워진 가운데, 외교부가 주최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 민관대화에서 각국 정부와 민간이 한자리에 모였다. 2025년 8월 11일부터 12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인구구조 변화와 인공지능(AI) 정책이 접목된 미래 전략을 다루며 주목받았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환영사에서 "한국 정부는 AI 전환을 정책 중심에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략적 AI 전환, 모든 수준의 AI 역량 강화, 민간 투자 기반의 AI 인프라 구축을 APEC AI 이니셔티브를 통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조현 장관의 발언은 올해 APEC 정상회의 성과물로 준비 중인 AI 이니셔티브의 비전을 국제사회에 선명히 각인시켰다.

이 자리에서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은 개회사를 통해 한국의 저출산 및 고령화 대응 사례를 소개하며 "APEC 회원국의 인구구조 변화 대응 전략 수립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는 각 회원국이 직면한 인구 문제 해법을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기능했다는 평가다.

 

주요 연설에서는 미국 인구참조국을 대표한 제니퍼 스쿠바가 "인적교류 확대와 돌봄 서비스 확충이 국내 노동력 강화의 핵심"이라며 구체적 정책 방안을 제시했다. AI 분야에서는 가이 벤-이샤이 구글 경제 분야 연구 총괄이 "AI가 경제 발전의 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고,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AI와 미래 일자리 연계가 향후 노동시장 전환의 핵심"이라고 진단했다.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이번 APEC 민관대화가 글로벌 인구구조 변화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실질적 정책 조율과 민관협력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나아가, AI 발전과 고령화 대응의 새로운 국제 표준 논의가 본격화할지 주목된다.

 

외교부는 올해 APEC 정상회의에서 AI 전환 및 인구구조 변화 대응에 대한 이니셔티브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도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조현#외교부#ap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