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구급 소모품 턱없이 부족”…정춘생 의원, 경기도 일회용 의료기기 재사용 실태 지적
일회용 멸균 의료기기 재사용 실태와 관련해 정치적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조국혁신당 정춘생 의원이 소방청 자료를 공개하며, 경기지역 119구급 현장에서 주요 의료기기 6종 가운데 5종이 현장에서 반복 사용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구급대원들은 예산 부족 현실과 감염 위험 사이에서 고충에 빠져 있다.
정춘생 의원이 21일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시도별 응급처치 현황 및 일회용 구급 소모품 수량’자료에 따르면, 경기도 119구급대는 지난해 심폐소생술, 기도확보, 비강호흡유지, 안면 마스크, 비재호흡마스크 산소공급 등 6종 소모품을 활용해 총 7만264건의 응급처치를 했다. 세부적으로는 심폐소생술 7천788회, 기도확보 7천506회, 성문외 기도확보 6천819회, 비강호흡유지 1만9천862회, 안면 마스크 6천536회, 비재호흡마스크 산소공급 2만1천753회가 집계됐다.

특히 소모품 사용 횟수와 실제 구매량의 격차가 컸다. 예를 들어 비강호흡유지에 사용되는 비강캐뉼라는 1만9천862회 쓰였으나, 구매 수량은 7천438개에 불과했다. 비재호흡마스크는 2만1천753회에 비해 9천778개만 구매됐다. 안면 마스크, 기도유지기, 성문외 기도유지기 역시 모두 실제 사용량의 절반 또는 그 이하 수준의 구매 수량에 머물렀다.
현장의 부족분은 대부분 의료기기의 재사용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일회용 멸균 의료기기를 반복 사용할 경우, “물리적 손상이나 기능 저하뿐 아니라, 세척·재멸균을 거치더라도 세균·바이러스 감염 우려가 상당하다”고 지적한다.
정춘생 의원은 이날 “일회용 멸균 의료기기의 재사용은 환자 감염 위험을 높일 뿐 아니라 예산 부족에 시달리는 구급대원들에게도 상당한 부담과 죄책감을 준다”며 “실제 응급 처치 수요를 반영한 구급 소모품 예산 증액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구급 현장의 감염 관리 문제와 예산 집행 효율성을 두고 반응이 갈리고 있다. 일부 의원들은 현장이 처한 현실을 반영해 적극적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집행 절차와 구매 투명성도 함께 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경기도 내 119구급대의 의료기기 부족 실태는 전국적 논의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 전국 소방·구급대 현장에 실질적 수요와 적정 예산이 반영될지 주목된다. 정치권과 보건당국은 해당 문제의 확대 파장을 예의주시하며, 국회는 향후 심사 과정에서 추가 논의에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