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삭제 요청 없었다”…구글코리아, ‘냉부해’ 유튜브 댓글 논란 해명
정부의 ‘냉장고를 부탁해’ 유튜브 댓글 삭제 여부를 두고 구글코리아와 정치권이 정면 충돌했다. 이재명 대통령 부부가 출연한 JTBC 예능 ‘냉장고를 부탁해’ 콘텐츠에서 댓글 1만2천여 개가 사라진 배경을 둘러싸고 여야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구글코리아는 정부 측의 삭제 요청은 없었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연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황성혜 구글코리아 대외협력정책 부사장은 “냉부해 콘텐츠 댓글 삭제와 관련해 정부로부터 어떠한 요청도 받은 바 없다”고 밝혔다. 이는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이 “정책 위반이 아닌 공적 인물 관련 댓글까지 대대적으로 삭제된 이유가 무엇이냐”고 따져 묻자 내놓은 답이다.

최용두 의원은 “구글의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에는 고위공무원이나 지도자와 관련된 토론은 정책 위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명시돼 있다”며 “대통령 부부가 프로그램에 나온 상황에서 다양한 국민 의견이 삭제됐다는 점에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날을 세웠다.
이에 황성혜 부사장은 “유튜브에는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이라는 별도의 규칙이 있고, 스팸이나 반복, 폭력적인 댓글은 자동으로 삭제되는 것”이라며 “매우 많은 건수의 댓글이 시스템상 자동 삭제된다”고 설명했다. 또 “콘텐츠 채널을 운영하는 측에도 관리 권한이 부여된다”고 덧붙여 실제 삭제 절차가 다양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관련 논란이 확산되자 정치권 일각에서는 댓글 삭제가 정부 입김에 의한 ‘여론 통제’ 아니냐는 주장도 제기됐다. 그러나 구글은 ‘기계적 검열 시스템’에 따른 조치임을 재차 강조하며 논란 진화에 나섰다.
이 같은 구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야권을 중심으로 한 정부 비판과 국민의 정보 접근권 보장을 둘러싼 목소리는 계속되고 있다. 국회는 향후 유튜브 등 글로벌 플랫폼의 여론 관리 방식과 투명성 강화 방안을 포함해 추가 질의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