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익 최우선 협상”…이재명 대통령, 미 관세 협상 압박에 단호 대응
한미 관세 협상을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의 강경 발언에 이재명 대통령과 대통령실이 “국익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며 맞섰다. 양측의 이견이 협상 테이블에서 첨예하게 부딪치면서, 무역 현안이 한미 간 새로운 정치적 쟁점으로 떠오르는 분위기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2일 “이재명 대통령이 어제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밝혔듯, 정부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협상해 나갈 것”이라며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이어 “합리성이나 공정성을 벗어난 협상은 결코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전날 기자회견에서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대한민국 국익에 반하는 결정은 절대 하지 않는다. 합리성과 공정성을 벗어난 어떤 협상도 하지 않는다”고 직접 언급했다. 이는 최근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유연함은 없다. 한국은 그 협정을 수용하거나 관세를 내야 한다”는 압박성 발언에 정면으로 대응한 것이다.
러트닉 장관은 11일(현지시간) 일본의 대미 관세협상 문서 서명을 거론하며, 한국이 미국의 요구를 수용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는 지난 7월 30일 한미가 큰 틀에선 관세 협상에 합의했으나, 대미 투자 기금 운용 등 구체적인 사안에선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 미국 측은 세부 사항 마무리를 한국 측에 거듭 요구하고 있다.
정치권은 양국 입장 차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국익 보호를 최우선으로, 무리한 양보는 곤란하다”고 밝혔다. 야권에서는 “정부가 미 정부의 압박에 흔들려선 안 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미 무역 갈등이 내년 대선을 앞둔 민심과도 연동될 수 있다고 진단한다. 한편, 현장에서는 “철강·자동차 등 산업계에 미칠 영향이 상당하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날 대통령실이 관세 협상에서 원칙을 재확인한 가운데, 미국 측의 추가 요구에 어느 수준까지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가 향후 외교 현안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미국과의 실무 협상을 지속하되, 합리성과 국익을 최우선하는 기조를 유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