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해군 함대 건조 파트너 자임”…정기선, 한미 조선 협력 확대 시사
미국 정부와 HD현대(회장 정기선)가 해군 함대 건조, 조선소 재건 등 주요 해양 전략을 두고 긴밀한 협력 강화에 나설 것을 예고했다. 정기선 회장은 27일 경북 경주엑스포대공원 문화센터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퓨처 테크 포럼: 조선’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해 “미국의 새로운 해양 비전과 정책 추진에 HD현대가 적극 동참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수석부회장에서 회장으로 승진한 후 첫 공식 공개 석상에서 “미 해군 중심의 차세대 함대 건조, 조선소 재건 등 미국의 해양 르네상스 취지에 발맞춰 든든한 파트너가 되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HD현대는 미국 조선소 지분 참여, 인수 등 현지 시장 진출 방안을 폭넓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HD현대는 한국은 물론 필리핀, 뉴질랜드, 페루 등 세계 각국의 해군에 100척이 넘는 수상함과 잠수함을 인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북미 조선시장 확장에 의지를 드러냈다. 정 회장은 “미국의 해양 르네상스 시대를 함께 여는 든든한 파트너로서 혁신의 여정에 함께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4월 미국 최대 방산 조선사 헌팅턴 잉걸스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언급하며 “양국 안보와 발전을 위해 함께 나아가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정 회장은 또 “산업 간 경계를 넘는 글로벌 혁신 동맹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조선, 해양, 첨단기술 산업 간 협력의 중요성도 재차 언급했다. 인공지능(AI) 기술 고도화, 탈탄소화, 제조 혁신 등 미래 전략 방향을 제시하며 “이번 포럼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AI 방산기업 안두릴과의 차세대 무인 함정 개발 사례, 자회사 아비커스의 자율운항 선박 태평양 횡단 성공 등 첨단기술 도입 사례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그는 “AI 기반 선박 자율운항, 자율임무수행 기술 융합이 해군 작전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꿔나갈 것”이라며 미래 지향적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어 친환경 선박 개발에 대해 “이제 친환경 선박은 먼 미래가 아닌, 오늘 기업의 수익성에 직결되는 최우선 과제”라며, AI 기반 운항 최적화, 전기추진, 연료전지, 암모니아·SMR 등 저탄소 연료 기술과의 연계 노력을 강조했다.
제조 혁신 측면에서는 첨단 로봇 도입 및 자율조선소 구축 현황을 소개했다. 정 회장은 “로봇산업 선두 기업과 협력해 머지않아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현장에 도입, 조선 생산 공정 혁신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퓨처테크 포럼은 글로벌 기업과 정부·학계 주요 인사가 산업 현황을 점검하고 청사진을 공유하는 행사로, 오는 30일까지 진행된다. HD현대는 첫 순서로 참가해 업계의 이목이 쏠렸다.
정기선 회장이 표명한 한미 조선 협력 구상과 첨단 제조 혁신 전략은 미국의 대규모 함대 재편 정책 및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맞물려, 향후 양국 간 안보 협력과 경제 파트너십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