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수령 주식 433억 원 지급”…예탁결제원, 캠페인 통해 2,135명 자산 회복
한국예탁결제원이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일까지 5주간 진행한 ‘2025년 미수령 주식 찾아주기 집중 캠페인’에서 433억 원 규모의 미수령 주식이 원소유자들에게 돌아가며 국민 재산권 회복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비상장·장기 미수령 주식 등으로 인한 ‘잊힌 자산’이 사회 곳곳에 산재한 상황에서, 체계적인 찾아주기 노력이 자산 선순환 촉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 발표(10월 23일)에 따르면 집중 캠페인 기간 동안 총 2,135명의 주주가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약 433억 원 규모의 주식을 되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주식은 약 431억 원, 주식 대금은 2억 원에 달했다. 예탁결제원은 행정안전부 및 10개 상장기업과 협력해 실명번호 오류, 거주지 변경, 사망 등으로 연락이 닿지 않았던 주주들에게까지 안내 범위를 넓혀, 총 약 711만 주의 주식을 전달했다.

일선 가계에서도 뜻밖의 자산 회복이 심리적·경제적 안정에 기여했다는 반응이 나왔다. 한 수혜자는 “주소 변경 탓에 안내를 받지 못했으나 안내 캠페인 덕분에 큰 자산을 되찾을 수 있었다”고 밝히는 등, 사각지대 해소의 실질적 효과가 확인됐다.
캠페인 성과에 대해 예탁결제원 관계자는 “주주의 권리 회복과 함께 잊혔던 자산이 가계로 돌아가는 선순환 효과를 확인했다”며, “추후에도 비실명 주주·우리사주조합 등 다양한 사각지대를 집중 발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잦은 주소 변경, 상속·사망 등으로 발생하는 미수령 주식이 꾸준히 누적되고 있는 만큼, 금융·행정 당국의 참여로 대상 발굴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미국과 일본 등에서도 유사한 제도 운영을 통해 ‘잠자는 자산’의 사회적 환원을 독려하는 사례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전년, 전월 대비 실질적으로 대상 규모와 지급액 모두 확대된 것으로, 최근 자산관리 환경 개선 및 가계 금융건전성 측면에서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
향후 예탁결제원 등 금융당국의 잔여 미수령자 조사, 실명확인 제도 보완 등 잊힌 자산 회수 시스템이 한층 더 정교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