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노란색 민방위복 다시 등장”…광주·전남 지자체 ‘윤석열 지우기’ 논란
정치

“노란색 민방위복 다시 등장”…광주·전남 지자체 ‘윤석열 지우기’ 논란

한지성 기자
입력

민방위복 색깔을 둘러싼 갈등이 광주·전남 지역 지자체를 중심으로 현안으로 부상했다. 18일 을지연습 상황 보고회를 계기로, 이재명 대통령의 노란색 민방위복 착용 지시에 민주당 소속 광역·기초지자체장들이 대거 동참하며 관가 곳곳에서 혼란과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반면 윤석열 정부 시절 녹색으로 개편된 공식 복장과 달리 일각에서 ‘윤석열 지우기’ 프레임이 논란을 키웠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따르면, 이날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노란색 민방위복을 각각 착용한 채 을지연습 최초 상황 보고회를 주재했다. 배석한 간부 공무원들 역시 시장·지사와 같은 색상의 민방위복을 선택해 눈길을 끌었다. 공식 지침과 상반되는 현상에 대해 일부 관계자들은, “노란색이든 녹색이든 현장 상황과 맥락에 맞게 입으면 되겠지만 일선에서 혼란만 가중된다”고 토로했다.

행정안전부는 2023년 8월 민방위기본법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민방위복 색상을 녹색으로 공식 교체했다. 다만, 기존 규정에 따라 배포된 복장은 계속 착용할 수 있도록 예외를 뒀다. 이재명 대통령은 재해 현장이나 점검 회의 등 주요 일정에서 기존 노란색 민방위복을 계속 입도록 지시했으며, “옷을 바꾸는 데 예산을 들이지 말고, 이미 있는 것을 입으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광산구처럼 최근 3년간 1,493벌의 녹색 민방위복을 지급했다는 점에서 “녹색 착용이 합리적”이라는 공식 입장을 밝힌 곳도 있다. 그러나 실제 보고회 현장에서는 상당수 공무원들이 노란색 민방위복을 입은 것이 확인됐다. 각 지자체별로도 노란색 복장을 우선 세탁 및 지급하고, 녹색 복장은 창고에 따로 보관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지자체별 색상 선택이 민주당, 국민의힘 계열로 양분되며, 민방위복이 정치적 상징으로 오용되고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일각에서는 “사전 수요 조사를 거쳐 노란색을 자체 지급한 지자체도 있다”, “동쪽은 녹색, 서쪽은 노란색이란 말까지 나돈다”며 지역별 이념 분열 우려까지 번지는 상황이다.

 

전남의 한 기초지자체 관계자는 “2023년 도입된 녹색 민방위복은 춘추복만 지급돼, 여전히 기존 노란 하복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노란색이든 녹색이든 상관없다는 의견도 있지만, 정부 차원에서 명확하게 정리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광주의 한 관계자도 “색상 통일에 불필요한 예산이나 사회적 비용을 낭비하지 말자는 공감대는 있다. 하지만 복장 선택이 결국 분열의 상징처럼 비치는 모습은 안타깝다”고 전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민방위복 색상 논쟁을 ‘윤석열 지우기’ 시도라 해석하며 파장이 국정 운영 전반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향후 전국적 기준 및 지침을 재정비할지 여부에 대한 논의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지성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윤석열#민방위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