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휴전 즉시 이행하라”…트럼프, 태국·캄보디아 관세 압박에 긴장 고조
국제

“휴전 즉시 이행하라”…트럼프, 태국·캄보디아 관세 압박에 긴장 고조

최유진 기자
입력

2025년 7월 26일(현지시각), 미국(USA)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태국(Thailand)과 캄보디아(Cambodia) 국경 교전과 관련해 즉각적 휴전을 직접 중재하며, 양국에 고율 관세를 경고하는 강경 카드를 꺼내 들었다. 전선이 확산되며 사망자가 30명을 넘었고, 피란민도 13만 명에 달하는 등 긴장이 최고조에 달한 지금, 트럼프 대통령의 이례적인 ‘무역 연계’ 압박은 국제사회의 대응에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현지시각 26일,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태국과 캄보디아 정상들과의 직접 통화에서 “즉시 만나 휴전과 평화를 실현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동시에 그는, 휴전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8월 1일부터 양국에 36%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강경 조치를 통보했다.

트럼프 / 뉴시스
트럼프 / 뉴시스

양국 군은 국경 일대에서 새벽까지 교전을 이어갔으며, 태국 뜨랏주와 캄보디아 푸삿주 등 접경지에서 하루 만에 추가 희생자가 발생했다. 태국 국방부는 26일 오전 5시10분께 캄보디아군이 국경을 침공했다고 주장했고, 이에 대해 캄보디아 측은 태국이 먼저 포격을 감행했다고 반박했다. 양국 당국은 군인과 민간인을 합쳐 33명이 사망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무력충돌은 817km 달하는 국경선과 프레아 비히어 사원을 둘러싼 오랜 영토 분쟁에서 비롯됐다. 특히 2008~2011년 교전에 비해 인명·피해가 더 커져, 불안이 지역 전역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과거에도 양국은 국경 긴장 속 유혈사태를 겪은 바 있으나, 이번에는 미국 대통령이 고율 관세라는 경제적 지렛대를 앞세워 직접 중재에 나서며 상황의 무게가 달라졌다.

 

말레이시아(Malaysia) 총리는 즉각적 휴전안 재추진을 선언했고, 유엔(UN) 아토니오 구테흐스 사무총장도 “즉각적 휴전과 대화가 필요하다”며 중재 노력을 확대하고 있다. 아세안(ASEAN)도 긴급 외교 채널 가동에 나섰다. 태국의 푸탐 웨차야차이 총리 대행은 “원칙적으로 휴전에 동의하지만 캄보디아의 진정성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밝혔으며, 캄보디아 정부도 말레이시아·유엔 중재안을 환영하고 있다. 그러나 한차례 합의 이후에도 산발적 충돌이 이어지며, 양국 간 신뢰 회복은 아직 요원한 상황이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와 BBC 등 주요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제재 경고가 ‘동남아 안보위기 격화 속 미국 영향력 과시’라고 평가하며, 국제사회가 긴급 중재에 나선 점에 주목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충돌이 전면전으로 비화할 경우, 동남아시아 안보구조 전체가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실제 아세안, 유엔, 미국이 동시에 현장 중재에 나선 가운데도 현지 접경지에선 산발적 교전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미측의 ‘무역과 평화 연동’ 전략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지 불확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제사회는 향후 휴전 합의 실현 여부와 피란민 보호 등 인도주의적 대응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트럼프#태국#캄보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