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 희생 위에 더욱 굳건해진다”…이재명 대통령 기념사에 美보훈장관 연대 강조
한국전쟁 정전협정 72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27일 미국 워싱턴 DC 한국전 참전 기념공원에서 열렸다. 현장에서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이 이재명 대통령의 기념사를 대독하며, 한미동맹의 굳건함과 자유·평화의 가치를 재확인했다. 정치적·역사적 의미가 맞물린 자리에 미 정부도 힘을 보태며 양국의 연대감을 재차 강조했다.
이 날 권오을 장관은 “정치·경제·안보·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숭고한 피로 맺어진 한미동맹을 더욱 굳건하게 하겠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메시지를 현장에서 전달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쟁 발발 시 미국은 유엔군사령부 창설 등 적극적인 지원을 펼쳐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에 크게 공헌했다”면서, “참전국과 참전용사들의 희생이 오늘날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의 토대”임을 강조했다. 이어 “미국은 피를 나눈 혈맹이자, 가장 강한 동맹”이라고 평가에 무게를 실었다.

미국 측 답사에 나선 더글러스 콜린스 미 보훈부 장관 역시 “이재명 대통령의 언급대로, 한미 양국 사이 연대는 여전히 매우 강하다”고 평가했다. 콜린스 장관은 “우리 대통령도 평화를 열망한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는 평화와 번영, 무역이 양국을 정의하는 시대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이어 “불확실한 세계 속에서 양국을 잇는 연대가 그 어떤 차이보다 강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콜린스 장관은 “한국전쟁을 흔히 ‘잊힌 전쟁’이라 부르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여전히 분단과 깨지기 쉬운 평화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에는 결코 잊히지 않은 전쟁”이라고 덧붙였다. “100만 명이 넘는 미군이 한국으로 떠나 침략을 막았고, 지금도 주둔하며 연약한 평화를 지키고 있다”면서 한미연대의 실질적 의미에 주목했다.
그는 최근 자신이 봉사활동으로 참전기념공원에서 기념비 청소를 했던 일화를 소개하며 한미 양국의 역사를 기념하는 시민적 움직임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워싱턴 링컨기념관 앞 기념공원에는 한국전에 참전한 미군 조각상과 전사·부상·실종·포로 숫자가 새겨진 기념비가 자리하고 있다.
한미동맹의 상징성, 그리고 평화를 지키기 위한 양국 정부의 연대가 강조되며, 정치권은 향후 정전 75주년, 동맹 발전 로드맵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