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미 동맹 미래형 전략동맹 논의”…이재명, 25일 백악관서 트럼프와 첫 정상회담
정치

“한미 동맹 미래형 전략동맹 논의”…이재명, 25일 백악관서 트럼프와 첫 정상회담

이예림 기자
입력

변화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성사됐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5일 백악관에서 취임 후 첫 정상회담 및 업무 오찬을 갖는다. 두 정상은 연합방위태세 강화와 한반도 비핵화 공조, 경제안보 협력 등 주요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으로 24일부터 26일까지 미국을 방문한다"며 이번 일정의 배경과 목적을 설명했다. 이 대통령의 해외 순방은 취임 82일 만이다. 강 대변인은 "두 정상은 변화하는 국제안보 및 경제환경에 대응해 한미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더욱 강화하는 가운데 한반도의 평화 구축과 비핵화를 위한 공조 방안도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방위와 안보뿐 아니라 경제 협력 강화에 방점이 찍혔다. 강 대변인은 "타결된 관세협상을 바탕으로 반도체, 배터리, 조선업 등 첨단 제조업뿐 아니라 핵심 광물 등 경제안보 파트너십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무 방문 형식의 이번 일정에는 김혜경 여사가 동행하며, 양국 정상은 회담 직후 업무 오찬도 함께할 계획이다.

 

정상회담 외에도 경제사절단 동행과 미국 내 산업현장 방문 가능성도 거론됐지만, 강 대변인은 "경제사절단과 함께 방문할 의사는 있으나 아직 구체적 논의나 발표 단계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또, 두 정상이 골프 모임 등 비공식 일정을 소화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재 일정에 오른 바 없다"고 부연했다. 다만, 한국 조선업체의 미국 진출과 관련된 현지 산업 시찰 일정은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놨다.

 

정상회담 일정 선정 배경과 관련해 강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협상 타결 이후 ‘2주 이내 정상회담’을 언급했으나, 실제로 양측 모두 일정이 빠듯해 실무조정을 거쳐 25일로 확정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6월 17일로 예정됐던 첫 회동은 중동 정세 악화로 트럼프 대통령이 급거 귀국하면서 무산된 바 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전후해 일본 방문 일정 가능성도 제기됐으나, 강 대변인은 "한일 정상 셔틀외교 등 여러 협의안을 검토 중이나, 아직 정해진 사안은 없다"고 말했다.

 

정치권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경제 및 안보 분야 의제에 더해 비핵화 협력 범위, 한미동맹 미래 발전구상 등을 두고 숨가쁜 논의가 이어질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담 이후 한미 동맹이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실질 협력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예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트럼프#한미정상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