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해수부 부산 이전 신속 추진”…이재명, 균형발전 강조 속 지역 갈등 격화
정치

“해수부 부산 이전 신속 추진”…이재명, 균형발전 강조 속 지역 갈등 격화

최유진 기자
입력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둘러싸고 이재명 대통령이 신속 추진 의지를 거듭 천명하면서 지역 간 이해 충돌이 정치권의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정부 주도 국가균형발전 방향에 따라 행정기관 이전 논의가 재점화된 가운데, 이전 대상지와 기존 수혜 지역 간 반발과 환영이 엇갈리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7월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취임 30일 기자회견을 열고 "수도권 공공기관을 대전, 세종, 충남으로 집중해서 이전한 만큼 더 어려운 지역, 그 중 하나인 부산으로 해수부를 옮기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같은 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된 제2차 수석보좌관회의에서도 이전 정책의 신속한 추진을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부산의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면서, 거리가 멀수록 지역경제가 어려워짐을 언급했다. 또 "최대한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 /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 / 연합뉴스

하지만 세종시와 충청권에서는 즉각적인 반발이 이어졌다. 국민의힘 세종시당은 이날 해수부 부산 이전 반대 결의문을 채택했고, 1인 시위 및 서명운동 등 전방위 행동에 돌입했다. 이들은 이번 계획이 행정수도 위상 약화와 국가균형발전 원칙 훼손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해수부 앞에서 1인 시위에 나서 "국정 효율화와 해수부 경쟁력 모두 감안할 때 이전이 온당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반면 부산에서는 해양수산부 이전에 대한 환영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부산진구의회는 7월 1일 정례회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촉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균형발전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며, 지역 해양산업의 발전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번 논란은 단순히 해수부 본부 이전을 넘어 산하 기관 이전 등 후속 현안으로 번지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소재 해양수산부 산하기관의 한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지만, 논란이 증폭될수록 서울에 남아있는 것 자체가 부담"이라고 토로했다.

 

여당인 국민의힘 부산 지역 의원들은 찬반 입장을 즉각 밝히지 않고 민심과 당내 전략적 셈법을 저울질 중이다. 과거 대전·세종 등 행정복합도시 건설에서도 비슷한 지역 갈등이 반복된 바 있어, 이번에도 부처·기관·지역 간 절충과 타협의 과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해수부 부산 이전 관련 범정부 협의와 특별위원회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으며, 정부는 관련 부처 및 공공기관과 긴밀한 조율 및 사회적 소통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HMM, 동남권 투자은행 등 해수부 산하 주요 기관의 후속 이전도 정책 논의의 새로운 쟁점으로 등장했다.

 

국가균형발전과 지역 사회, 공공기관의 이해가 맞물리며 해수부 부산 이전 논의는 대한민국 행정개편의 시험대가 됐다. 오는 하반기에도 각 지역 및 정치권의 줄다리기는 계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해수부이전#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