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커버그 주택개발 논란”…팰로앨토 주민 갈등, IT권력 일상 침투
미국 팰로앨토의 고급 주거지에서 빅테크 경영진의 공간 침투가 새로운 사회적 갈등 양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마크 저커버그 메타플랫폼 CEO가 현지 부지를 대규모로 사들여 사실상 ‘개인 왕국’ 형태로 개발하면서 인근 주민들과의 마찰이 심화되는 정황이 보도돼 주목된다. IT 자본의 일상 공간 확장과 사생활, 규제의 경계가 산업 내외에서 논란의 촉매로 작용하는 모습이다.
저커버그는 14년 전 팰로앨토 크레센트파크로 이주한 이후 인접 주거지 다수를 매입해, 단독 주택을 소유해 왔다.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그는 해당 구역에 부인 프리실라 챈의 동상(높이 약 2m) 설치와 자녀를 위한 사립학교 개조, 정원 감시카메라 운용, 경호팀 관리 등 다각적 설비 확장을 주도했다. 시 조례상 주택용 부지 내 사립학교 운영은 불법이나, 저커버그는 규제의 틈을 활용해 공사를 지속했다.

핵심 갈등 요인은 2016년 제안됐던 주택 4채 철거 및 지하 확장, 신축 계획이 시 당국의 심의 과정에서 반려됐음에도, 본인이 3채 미만 단위의 분할 사업 방식으로 8년간 사실상 동일 규모 공사를 이어간 점이다. 공사 장기화 과정에서 접근 통제, 소음, 차량 훼손, 장비 방치와 같은 생활불편이 누적됐다. 대규모 파티나 야간 음악 소음, 주민 검문과 거리 감시 역시 민원이 늘어난 주요 배경이다.
이 같은 ‘빅테크 대표의 일상 공간 사유화’는 주민권리·공공질서와 사적 경계의 재정립 문제로도 확장된다. 저커버그 대변인은 “최고경영자로서 보안 필요성이 높다”는 원론적 입장을 표명했지만, 일각에선 형식적 규제 회피와 사회적 책임 결여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크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스타트업 창업자 중심의 고소득 집적, 그에 동반한 사회 기반시설·공공 질서 변화 문제가 반복 논란이 되고 있다. 미국, 중국, 유럽 등지에서도 IT 기업의 지역사회 영향력이 주거권·사생활·환경 규칙에 충돌하는 사례가 잇따르며, 글로벌 거대 IT기업 경영진의 ‘물리적 권력’까지 산업적, 정책적 규율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흐름도 형성되고 있다.
관련 논의가 공공규제, 개인정보, 도시민권까지 확대되면서 전문가들은 “IT기업의 영향력이 물리 공간까지 확장되는 현상이 지역사회 구조와 법규의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며 “규제와 윤리, IT산업의 성장 간 균형이 새로운 과제가 되고 있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갈등 사례가 미 실리콘밸리 IT권력과 지역사회 공존의 방향성을 가를 시험대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