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방한 앞두고 러 방문”…최선희, 북러 외교행보에 긴장 고조

박진우 기자
입력

현지 시각 26일,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상 최선희가 러시아(로씨야련방)와 벨라루스(벨라루씨공화국)를 방문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순방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USA) 대통령의 방한을 불과 며칠 앞두고 이뤄지면서,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외교적 긴장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로씨야련방 외무성과 벨라루씨공화국 외무성의 초청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상 최선희 동지가 로씨야련방과 벨라루씨공화국을 방문하게 된다”고 전했지만, 구체적 일정이나 기간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 / 연합뉴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 / 연합뉴스

최선희 외무상의 러시아 방문은 지난해 11월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과의 회담 이후 1년여 만이다. 당시 북러 양국은 군사·경제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어, 또다시 정상급 외교가 재개될지 주목된다. 외교가에서는 “라브로프 장관과의 재회동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논의될 가능성도 크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번 방문은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29~30일 한국을 찾는 일정과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를 갖는다. 최선희 외무상은 북한 외교를 이끄는 핵심 인사로, 그의 해외 순방 기간 중 트럼프와 김정은 위원장 간의 직접 회동 가능성은 사실상 낮아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국 외교당국도 “북미접촉에 진전이 있을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뉴욕타임스를 비롯한 주요 외신은 “북러 외교전이 한반도와 동북아의 전략 환경에 변수를 던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러시아와 벨라루스는 최근 미국 및 서방과의 긴장 속에 북한과의 협력 관계를 과시하고 있어, 이번 최 외무상의 방문에 외교·안보적 의미가 더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미 대화 재개보다는 북러 간 안보·경제 협력 강화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내다보며, “향후 한반도 외교지형에 또 다른 복합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국제사회는 북한의 움직임과 북러 외교의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최선희#트럼프#북러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