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정부 전산망 장애 복구율 95% 돌파”…709개 시스템 중 674개 정상화

김서준 기자
입력

정부 전산망 장애가 빠르게 복구되고 있다. 5일 행정안전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됐던 정부 정보시스템 709개 중 674개가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안전신문고, 재난관리업무포털 등 주요 민관 서비스가 잇달아 복구되면서 국민 불편 최소화에 주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업계는 이번 복구 진행 상황을 전산망 리스크 관리 역량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번 복구는 총 709개 시스템을 등급별로 조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1등급 중대 시스템 40개는 이미 100% 복구됐고, 2등급 68개 중 65개, 3등급은 261개 중 246개, 4등급은 340개 중 323개가 복구됐다. 복구율은 전체적으로 95.1%에 이르렀다. 행정안전부는 안전신문고, 재난관리 포털, 풍수해관리시스템, 개인정보 분쟁조정 시스템 등 생활·안전과 직결된 서비스를 우선 복구했다고 전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IT 인프라 복구 방식은 순환 백업, 교차 서버 운영, 단계적 시스템 분석 등 선진적 접근법을 적용했다. 1등급 주요 시스템은 실시간 이중화, 미러링 백업(동시자료복제) 등 고도화된 방식으로 평소보다 복구 속도를 높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같은 유형의 과거 장애와 비교하면 복구 기간과 데이터 안정성 모두 개선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복구 대상 시스템 가운데 대부분이 공공행정, 재난 대응, 개인정보 관리 등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분야여서, 신속 복구에 실질적인 의미가 크다는 분석이다. 정보기관, 지방정부, 공공기관  협업으로 통합 관제에 나서며 ‘디지털 정부의 백업 체계’를 현실화한 사례라는 시각도 제기된다.

 

글로벌 수준의 클라우드 백업이나 다중 데이터센터(MDC) 구조와 비교하면 국내 전산망 복구는 아직 과제도 남아 있다는 지적이 있다. 미국, 일본, 유럽 일부 국가는 지리적 분산 복제·단계적 칩 교체와 같은 고도화 조치를 조기에 도입한 바 있다.

 

정보보호 정책 측면에서는 장애 발생 시 데이터 유출 방지, 개인정보보호위와의 공조 등 선제적 조치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안전신문고 등 국민 체감도가 높은 서비스는 우선 가동하고, 추가로 전체 시스템 운영 안정성을 계속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IT 업계와 전문가들은 “검증된 데이터 복구 기술이 확산되면 유사 위기 관리 역량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정보 인프라의 회복력이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경쟁력이 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장애 복구 경험을 디지털 정부 인프라 구조 개선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행정안전부#국가정보자원관리원#전산망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