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건병증 맞춤치료 각광”…한림대, 최신 치료법 국제 주목
최근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형외과 노규철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퇴행성 건병증 치료 논문이 세계적 권위의 국제학술지 ‘국제분자과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서 2024년 최다 열람 논문으로 선정되며, 정밀의학 및 재생의학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해당 논문은 2024년 11월 발표 이후 2025년 6월까지 약 8개월간 6500여 명의 학계 관계자와 전문가가 직접 열람한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퇴행성 건병증 치료법 발전에 대한 산업 및 의료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논문에서는 퇴행성 건병증의 병태생리, 즉 건(힘줄) 조직의 미세 손상과 노화로 인한 만성화 진행 과정을 과학적으로 고찰하고, 임상 현장에서 활용되는 치료법별 효능과 한계를 세밀히 분석했다. 특히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RP, Platelet-Rich Plasma), 줄기세포(Cell Therapy),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SVF) 등 재생의학 기반 신기술이 기존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접근에 비해 조직재생 능력 및 치료 반응에서 얼마나 우위를 가질 수 있는지, 임상 효과를 수치와 사례로 평가했다. 최신 분자생물학 진단기술과 체계적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환자별 병변 예측과 치료 경과 관찰에서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실마리도 제시했다.

퇴행성 건병증 치료는 고령화로 인한 유병 인구의 확대로 인해 병원, 재활센터 등 국내외 의료시장에서 빠르게 관심을 끌고 있다. 하지만 건 조직의 만성 손상 특성상 경과와 증상 호전 속도가 환자마다 천차만별이며, 표준화된 치료 지침이 부재해 환자 맞춤형 솔루션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미국과 유럽 주요 기관에서는 맞춤형 바이오 치료제와 통합 재활 프로토콜의 효과를 입증하는 임상 연구가 늘고 있으며, 국내 의료기관 중에서는 한림대학교성심병원 논문이 국제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한편, 재생의학 치료법이 본격 임상 활용 단계에 진입하면서 관련 규제와 인증 요건도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PRP, 줄기세포 등의 바이오 치료는 식약처와 미국 FDA에서 주기적 안전성 데이터 제출을 관건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장기적 치료 결과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환자별 맞춤정보 보호, 합병증 모니터링 등 추가 제도개선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관련 전문가들은 “퇴행성 건병증은 환자 예후 예측이 복잡하고 만성질환으로 쉽게 고착화되는 경향이 있어, 단순 치료법 요약을 넘어 실질적 임상 한계와 환자 맞춤화 전략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최첨단 분자진단, 바이오마커 조기 탐지기술, 치료반응 데이터 기반 정밀치료 도입이 산업 변화를 촉진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성과가 미래 정밀의학·맞춤형 치료 시장 확대의 신호탄이 될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윤리, 제도, 보험 등이 조화롭게 뒷받침돼야 한다는 과제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