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당대회 혼란 엄중 경고”…국민의힘, 전한길 징계 절차 착수
전당대회 현장에서 발생한 소란을 두고 국민의힘이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 이른바 극우 유튜브 인사로 알려진 전한길이 8·2 전당대회 대구·경북 합동연설회에서 연설을 방해한 행위에 대해, 국민의힘이 9일 중앙윤리위원회 주도의 징계 절차에 돌입하기로 하면서 당내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긴급 비상대책위원회를 소집해 “합동연설회 방해에 대해 대구시당 및 경북도당이 중앙당 차원의 엄중 조치를 요청했다”며 신속한 징계 착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한길에 대한 조사는 서울시당 윤리위원회에서 중앙당으로 이첩돼, 기존의 입당 승인 자격 심사와 별개로 연설 방해 행위가 중심적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더 이상 전대 과정에서 혼란이 재발하지 않도록 윤리위가 조속히 결론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씨의 전당대회 행사장 출입을 추가로 금지하며 “축제의 장이 돼야 할 전대가 갈등으로 얼룩지는 일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전한길은 전날 대구에서 열린 합동연설회 현장에서 소위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하는 후보의 연설 도중 “배신자”라는 구호를 당원들에게 유도했고, 이 과정에서 일부 지지자들이 전씨를 향해 물병을 던지며 장내 소란이 빚어졌다. 서울시당 윤리위는 당초 전씨 입당 경위와 과거 극단적 발언 등이 당 정강정책에 부합하는지 조사 중이었다.
당내 일각에서는 당 차원의 신속한 조치가 전당대회의 정상적 진행과 추가 분란 예방에 필수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일부 보수계 지지자들은 ‘의견 표명도 막는 과잉 대응’이라는 주장 역시 내놓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번 사태가 전당대회 관리 체계와 당원 자격 심사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는 한편, 향후 유사 사례에 대한 제도적 보완책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국회는 전씨 징계 문제를 놓고 정치적 책임 공방이 이어졌고, 당 내부에서는 ‘당 질서 확립’ 필요성이 재차 부각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