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여객기 참사 진상 국감장으로”…김이배 제주항공 대표, 증인 재채택 논란 재점화

강민혁 기자
입력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와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가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 진상 규명을 둘러싸고 맞붙었다. 국토위가 정부와 여당의 증인 최소화 기조에도 불구, 김 대표를 다시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하면서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16일 오전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은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를 오는 29일 종합감사 증인으로 재채택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김 대표는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국감 증인으로 채택됐으나, 국토위는 정부와 여당이 요청한 ‘국정감사 증인 최소화’ 방침에 따라 여야 합의로 한 차례 증인 채택을 철회했었다. 그러나 유가족들의 요구와 여론이 확산되면서 이번에 다시 결정을 번복했다.

김유진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 협의회 대표는 지난 13일 국회 국정감사 참고인으로 출석해 “종합감사에는 김이배 대표를 증인으로 꼭 세워 달라”며 공식적으로 촉구했다. 이에 여·야 일부 의원들은 “진상 규명과 책임 있는 답변을 위해 경영진이 직접 출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야를 막론한 의견 대립도 거세다. 여당 측에서는 “정치적 소모를 줄이고 실질적 대책 마련이 중요하다”며 증인 채택 최소화 원칙을 내세우고 있다. 반면 야당은 “참사 재발 방지와 유가족 설득을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 직접 출석이 불가피하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진상 규명을 둘러싼 정치권 전체의 갈등은 종합감사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한편, 국토위는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이승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조사단장도 동일하게 종합감사 증인으로 선정했다. 또한 김수현 경동엔지니어링 상무 역시 서울-양평고속도로 종점 변경 논란과 관련한 증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날 국회는 여야 증인 채택 번복 등 책임 공방을 이어가며 무안공항 참사를 둘러싼 진상 규명 요구에 다시 한번 이목이 집중되는 모습이다. 정치권은 이번 종합감사에서 증인 출석을 계기로 특별대책 마련 논의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토교통위원회#김이배#제주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