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오디오 기술 확보 가속”…메타, 웨이브폼스 인수에 업계 긴장
현지시각 8일, 미국(USA)의 메타플랫폼이 AI 음성 기술 분야의 주목받는 스타트업 ‘웨이브폼스’(WaveForms) 인수를 공식화했다. 이번 인수는 메타가 ‘초지능 연구소’ 조직 강화를 공언한 가운데, AI 오디오 관련 혁신기술 및 핵심 인재 확보를 본격화하는 두 번째 행보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이 글로벌 빅테크 간 AI 경쟁의 새로운 불씨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
디인포메이션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웨이브폼스 인수는 지난달 ‘플레이AI’ 투자(143억 달러)에 이은 것으로, AI 오디오 영역에서 메타의 기술 내재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다. 웨이브폼스는 설립 8개월 만에 1억6천만 달러로 평가받는 등 감정 인지와 자연스러운 대화 능력을 갖춘 AI 음성 기술로 투자자의 이목을 끌어왔다. 공동 창업자 알렉시스 코노는 오픈AI에서 ‘GPT-4o 어드밴스드 음성 모드’ 개발을 주도했던 AI 연구자이며, 함께한 코랄리 르메트르는 구글의 광고 전략가 출신이다. 양측 주요 인력 모두 이번 인수로 메타에 합류했다.

메타는 과거에도 R&D 중심 AI 스타트업 인수로 조직 내 역량을 꾸준히 강화해 왔다. 이번 웨이브폼스의 경우, 10여 명으로 구성된 집약적 기술진이 AI의 자기 인식·감정·음성 자연화 등 최첨단 분야를 리드해 왔다는 점이 특징이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빅테크가 도입 경쟁 중인 차세대 메신저, 메타버스, 현실 구현형 AI 서비스 등에 있어서 이러한 인재 확보가 전략적 우위를 좌우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해외 투자자와 업계의 반응도 빠르게 이어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메타가 AI 오디오 영역의 자체 기술 및 조직력을 대폭 확장했다”고 평가했고, 뉴욕타임스도 “이번 인수는 AI 음성 시장에서의 독주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경쟁 빅테크인 구글(Google), 아마존(Amazon) 등도 관련 분야 스타트업 영입과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는 추세다.
시장 전문가들은 메타의 AI 오디오 기술이 차세대 메신저 기능과 메타버스 플랫폼 혁신, 나아가 감성 대화형 AI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장이 상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동시에, AI 오디오 분야 스타트업에 대한 인수합병 및 특허 확보 경쟁이 한층 가속화될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향후 빅테크 주도의 AI 오디오 시장 지형 변화와 국제 기술 경쟁구도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