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창원 도심 미군 사격장 이전 절실”…경남 시민단체, 국방부·주한미군에 강력 촉구

박진우 기자
입력

도심 주한미군 사격장 이전을 요구하는 경남 시민단체와 군 당국의 갈등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16일 경남지역 3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주한미군 전용 사격장 건설중단 및 폐쇄 창원시민대책위원회’는 창원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창원 의창구 팔용산 내 주한미군 사격장 이전을 강력하게 촉구했다.

 

대책위는 “의창구 팔용산에 위치한 주한미군 사격장으로 인한 소음 피해와 생명 위협은 누구의 몫이냐”고 지적했다. 이들은 최근 사격장 내 배수로 등 정비공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사격장 공사 현황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대책위와 군, 창원시가 모두 참여하는 현장실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대책위는 “국방부와 주한미군은 사격장 이전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과 일정을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설명해야 한다”며 “더 이상의 공사는 중단하고, 당장 사격장을 폐쇄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국방부, 국회 국방위원회, 주한미군 측에 사격장 관련 계획의 공개를 질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팔용산 중턱에 위치한 주한미군 사격장은 2023년 미군 측이 시설 개선공사의 일환으로 벌목 작업에 나서면서 존재가 본격적으로 알려졌다. 이후 시민들의 거센 이전 요구와 반발로 공사가 일시 중단된 바 있다. 다만 지난 8월에도 일부 시민단체는 해당 사격장에서 배수로 정비공사가 재개됐다고 주장하며, 안전과 환경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창원시는 당시 “육군 제9탄약창이 주한미군 사격장 인근 탄약창 부대 부지에서 철책 설치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동향을 지속 점검하면서 도심 속 미군 사격장에 대한 시민 불안을 관계기관에 전달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주한미군 도심 사격장을 둘러싼 논란은 지역사회 전체로 확산되고 있으며, 공공 안전과 미군 주둔 정책의 접점이라는 점에서 향후 정치권과 정부의 대응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정부와 국회에서는 관련 계획과 소통 절차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주한미군#창원#국방부